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구슬처럼 튀는 빗방울

by taeshik.kim 2018. 8. 16.
반응형



한시, 계절의 노래(141)


6월 27일 망호루에서 술 취해 쓰다. 다섯 절구(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 중 첫째


 송 소식 / 김영문 選譯評 


먹장구름 뒤집히나

산도 아직 못 가린 때


희뿌연 비 구슬처럼

나룻배로 튀어드네


땅 휩쓸며 바람 불어

갑자기 비 흩으니


망호루 아래 저 호수는

하늘인양 펼쳐졌네.


黑雲飜墨未遮山, 白雨跳珠亂入船. 卷地風來忽吹散, 望湖樓下水如天.


이 시를 읽을 때마다 ‘천의무봉(天衣無縫)’이란 말이 떠오른다. 아무 꾸밈이 없고 자연스럽다. 소동파가 여름날 서호(西湖) 가 망호루에서 술을 마시다 갑자기 몰려온 먹장구름과 소나기를 보고 흥에 겨워 일필휘지로 이 시를 썼을 것으로 짐작된다. 묘사 대상을 구름, 비, 바람, 하늘로 금방금방 옮기면서도 눈앞에 펼쳐지는 특징을 너무나 생생하게 잡아냈다. 기구(起句)에서는 먹빛이 퍼져나가는 듯한 소나기 구름의 특징을 ‘번(飜)’으로 표현했다. 구름이 갑자기 뒤집히듯 치솟아 오르는 모양이다. 그러나 먹장구름은 아직 산도 다 가리지 못했다. 승구(承句)에서는 소나기의 굵은 빗방울을 튀는 구슬(跳珠)이라고 했고 그것이 어지럽게(亂) 나룻배 속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순간을 줌인 컷처럼 포착했다. 전구(轉句)에서는 땅을 휩쓸며 불어와 비와 구름을 사방으로 휘몰아가는 바람을 질풍 같은 속도로 묘사했다. 결구(結句)는 망호루에서 바라보는 호수 풍경이다. 소나기가 쏟아지며 호수와 하늘이 하나의 색깔로 희뿌옇게 물드는 모습을 한 폭의 수묵화처럼 그려냈다. 소동파는 이 시 뒤에 연작시 네 수를 더 썼지만 기실 그건 군더더기에 불과하다. 이 한 수만으로 더 손댈 곳이 없기 때문이다.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늦여름 더위  (0) 2018.08.16
타들어가는 대지  (0) 2018.08.16
달빛은 차가운데 인간세상 소는 왜 헐떡이는지  (0) 2018.08.11
귀뚜라미랑 보내는 밤  (0) 2018.08.11
농촌의 일상  (0) 2018.08.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