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독고수獨孤綬 <연못에 감춘 옥 [藏珠於淵]>

by taeshik.kim 2018. 9. 22.
반응형

이 역시 서성 선생 글이다. 

 

독고수獨孤綬는 779년 진사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박학굉사과에도 급제하였다. 그밖의 사항은 미상. 독고수는 부賦와 송頌에 뛰어났는데, 「방순상부」放馴象賦는 덕종德宗이 격찬했다. 그의 작품은 『전당시』에 시 2수가 실려 있고, 『전당문』에 문장 24편이 전한다.

 

귀금속 좋아하다 패가망신하고 망국한다.

 

藏珠於淵

옥을 연못에 감추다

 

至道歸淳朴 최고의 도는 순박으로 돌아가는 것

明珠被棄捐 보옥 주웠다 해도 버려야 하리

失眞來照乘 진솔함 잃으면 수레 비추는 보옥에 불과하나

成性却沈泉 천성 이루면 오히려 샘물에 잠긴다네

不是靈蛇吐 뱀이 수후隋侯한테 물어준 게 아니라

猶疑合浦旋 합포合浦로 진주 돌아온 일 같으니

岸傍隨月落 강가 언덕에 달과 함께 떨어지고

波底共星懸 파도 아래 별과 함께 걸렸네

致遠終無脛 발 없어도 결국은 멀리 가고

懷貪遂息肩 갖지 않아도 결국 탐욕 품는다네

欲知恭儉德 근검의 덕을 알려 한다면 

所寶在唯賢 주옥 아닌 현능한 이 보배 삼아야 하리

 

제목 藏珠於淵(장주어연)은 획득한 옥을 원래의 연못으로 돌려보내다는 뜻. 『장자』「천지」天地에 나오는 말이다.

 

〔해설〕 『장자』 사상을 시화하였다. “이와 같은 사람은 황금을 얻어도 산에 묻어두고 옥을 얻어도 연못에 숨겨두니, 재화로 이익을 구하지 않고 부귀를 가까이 하지 않는다.” [若然者, 藏金於山, 藏珠於淵, 不利貨財, 不近貴富.] 사람들의 욕망이 결집하는 보옥을 통해 이를 버림으로써 순박함에 이를 수 있다는 철학을 형상화하였다. 말미에서 재물이 아닌 현능한 인재를 제시함으로써 『장자』의 본뜻에서 유리되었지만, 다른 한편 한사寒士에 대한 관심을 호소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