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산 백거이가 죽은 원진한테...절친의 죽음을 아파하며

by taeshik.kim 2018. 7. 24.
반응형


한시, 계절의 노래(127)


원 상공 만사 세 수(元相公挽歌詞三首) 중 셋째


 당 백거이(白居易) / 김영문 選譯評 


수많은 장송객 모두

참담한 심정인데


반혼 수레 끄는 말도

슬픔으로 울고 있네


평소의 금(琴)·서(書)·검(劍)·패(佩)

그 누가 수습하나


남겨진 세 살 아들

갓 걸음마 배우는데


送葬萬人皆慘澹, 反虞駟馬亦悲鳴. 琴書劍佩誰收拾, 三歲遺孤新學行. 


옛 사람들은 친척이나 친지가 세상을 떠나면 만사(輓詞 혹은 挽詞)를 지어 애도했다. 5언시, 7언시, 4언시, 사부(辭賦) 등 다양한 형식으로 추모시를 지었다. 현재 남은 문인들 문집에는 만사 항목이 따로 분류되어 있을 정도로, 만사는 다른 사람의 장례에 애도를 표하는 보편적인 양식이었다. 노무현 대통령 묘소 전면에 깔아놓은 추모 글귀 각석도 현대적 의미의 만사라 할 만하다. 이 시는 중당 시대 대문호 백거이가 절친 원진(元稹)의 장례 때 헌정한 만사다. 장례를 치르고 혼백을 빈소로 모시는 반우(返虞 혹은 返魂) 절차를 슬프게 읊었다. 금(琴)·서(書)·검(劍)·패(佩)는 원진이 평소에 가까이하던 칠현금, 서책, 칼, 패물(佩物)이다. 원진은 적자(嫡子)가 요절했고, 서자만 몇 명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 원진이 세상을 떠날 때 그의 유품조차 수습할 자식이 없던 것으로 보인다. 삶과 죽음의 이별에는 늘 애통함과 안타까움이 동반되게 마련이다. 어제(2018.07.23.)는 우리 현대 문학사 큰별 최인훈 선생과 정치사 큰별 노회찬 의원이 세상을 떠났다. 두 분 모두 해당 분야에서 큰 발자취를 남겼다. 충격과 슬픔을 금할 수 없다. 이 백거이 만사로나마 삼가 조의를 표하고 명복을 빈다. 고통 없는 세상에서 편히 쉬시길 기원한다.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스께끼!"  (0) 2018.07.26
대서는 곧 가을의 문턱  (0) 2018.07.24
새암 없는 부인  (0) 2018.07.22
한여름 소나무 아래는 가을  (0) 2018.07.22
매미 소리 왕청난 계곡 숲속에서  (0) 2018.07.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