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HISTORY

소현왕후를 둘러싼 논란, 관 머리는 어디로?

by taeshik.kim 2018. 2. 19.
반응형

서거정(徐居正·1420∼88)의 《필원잡기(筆苑雜記)》 제1권에 보이는 일화다.  

병인년에 소헌왕후(昭憲王后 세종비 김씨) 장례 때에 큰 비가 와서 강물이 불어 재궁(梓宮 임금이나 왕비의 관)을 건널 수가 없었기 때문에, 부득이 낙천정(樂天亭)에 임시로 모셔두었는데, 혹은 남쪽으로 머리를 두어야 한다 하고, 혹은 북쪽으로 머리를 두어야 한다 하여 의논이 결정되지 못하였다. 문성공(정인지)이 뒤에 이르러서 말하기를, “예문(禮文)에, 빈소(殯所)에서 남쪽으로 머리 두는 것은 그 어버이를 죽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 뜻이며, 광중(壙中)에서 북쪽으로 머리 두는 것은 죽은 것으로 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역시 빈궁(殯宮)이니 남쪽으로 머리를 두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 제공(諸公)들이 말하기를, “재상은 마땅히 독서한 사람을 써야 한다.” 하였다. 

내가 항용 말하듯이 동아시아 죽음은 두 단계가 있으니, 첫째가 생물학적인 죽음이라 이는 말할 필요가 없고, 두번째가 그런 시신을 완전히 땅에 매장하는 순간이니 이를 나는 굳이 상징적인 죽음이라 한다. 두 죽음 사이 기간을 빈殯이라 하며, 그 기간 시신을 모신 공간을 빈소殯所라 하거니와, 흔히 빈전殯殿이라 했다. 

빈전에 있을 적에 죽은 사람 머리는 어디로 둘 것인가? 남쪽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북쪽으로 할 것인가는 문제가 된다. 동아시아 예법에서 상징적인 죽음에서야 비로소 완전한 죽임이 선언되거니와, 이때까지만 해도 죽은 사람은 산 사람으로 간주해서 머리를 남쪽으로 둔다. 상징 죽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전한 죽음이 완성된 것으로 보아 시신 머리는 죽음을 관장하는 신이 있는 북쪽을 향하게 된다. 

이 머리 방향을 두침頭枕이라 하거니와, 이 문제는 언뜻 허심하게 보이나 꽤나 중대성을 갖는다. 빈소에 있을 때는 문제가 없다. 한데 필원잡기가 말하는 저 사건은 빈소를 떠나 왕릉으로 매장하러 가는 길에 일어났다. 이에서 정인지가 말하는 논법을 보라! 

저 대목을 이해해야, 왜 무령왕릉 부부가 남쪽으로 머리를 두었는지를 비로소도 해명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