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아리송송 '중도식 토기'...봐도 모르는 고고학사전

by taeshik.kim 2018. 4. 10.
반응형

<국립춘천박물관 중도식토기 전시코너>

그제 국립춘천박물관 탐방에서 나는 이번에 이 박물관이 채택한 새로운 전시기법이랄까 하는 점들을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개중 특징적이거나 인상적인 대목으로 '중도식 토기(中島式土器)'의 압도적인 위용을 들었다. 이 중도식 토기란 실은 기원전후, 그러니깐 이 지구상에 예수라는 분이 탄생하던 시점,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중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특정한 토기를 지칭하는 말로서, 그 하나하나는 이렇다 할 볼품은 없지만, 그것들 수백 점을 한데 모아놓으니 볼 만하다고 나는 말했다. 

춘천박물관이 이 토기를 저리 집중적으로 소개한 까닭은 '중도식 토기'라는 말을 있게 한 본향이 바로 춘천인 까닭이다. '중도식 토기'란 요컨대 중도라는 지역에서 확인된 토기를 대표로 삼는 같은, 혹은 비슷한 시대 같은, 혹은 비슷한 토기를 일컫는 말이거니와, 예서 말하는 중도가 바로 지금은 의암호 건설로 북한강 수중섬으로 남은 중도를 말한다. 이 중도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는 '가운데 있는 섬'이거니와, 북한강 한복판에 있다 해서 이렇게 일컫는다. 춘천 의암호에서는 북한강 상류와 하류에 서로 인접해서 섬 두 개가 있는 까닭에 상류에 있는 것을 상중도(上中島)라 하고, 그 아래 지점 섬을 하중도(下中島)라 한다. 

이 중도식 무문토기는 무문토기(無文土器)라는 말이 시사하듯이 별다른 문양을 베풀지 아니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삼는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이 무문토기는 그 전 시대, 그러니깐 한반도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무늬없는 토기와는 구별이 되지 않는다. 보통 청동기시대라면 청동기 유물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아야 하지만, 한반도 청동기시대는 청동기 등장이 요새 조금 시간을 치고 올라가 기원전 10세기 어간으로까지 범위를 확장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본격적인 청동기 시대 등장은 그보다 훨씬 낮추어 잡아 실은 초기철기시대가 개막하는 기원전 4~3세기 무렵이 되어야 청동기 비중이 높아진다. 

<국립춘천박물관 중도식토기 전시코너>

그런 까닭에 한반도 청동기시대를 '무문토기시대'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 또한 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 한데 '중도식 토기'란 더 풀어제끼면 '중도식 무문토기'라, 이 경우 문제가 되는 점은 그 이전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와는 어떻게 구별하느냐 하는 고민을 유발한다. 그것은 다른 무엇보다 같은 무문토기라 해도 소위 중도식 무문토기는 그와는 결이 분명히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 특징이란 무엇인가? 고고학도들은 소성도에 주목한다. 소성도(燒成度)란 무엇인가? 토기를 가마에서 몇도에서 굽느냐 하는 것이다. 한데 중도식 무문토기는 청동기시대를 특징짓는 무문토기보다는 높은 가마 온도에서 구웠다. 온도가 높으니, 당연히 그 전시대 같은 무문토기보다는 더 단단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중도식 무문토기를 흔히 '경질(硬質)무문토기'라 일컫는다. 경질이란 단단하게 구웠다는 뜻이다. 

물론 이런 명명법도 문제는 없지 않다. 경질이라는 말에는 상대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영어에 견주어 한국어가 지닌 함정 혹은 결함이기도 한다. 한국어는 영어만큼 비교급 문법이 발달하지 않았다. 따라서 저걸 그대로 대입하면 단순히 '경질무문토기'가 아니요,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무문토기'가 되어야 하며, 이에서 '상대적으로 더'란 비교가치는 그 전 시대 '상대적으로 더 연질(軟質)인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에 견주어'란 수식어가 잔뜩 달려야 한다. 

저 경질무문토기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느냐를 내가 몇 군데서 살핀 적이 있는데, 'hard plain coarse pottery'라는 말을 쓰거나 혹은 저 중에서 'coarse'라는 말을 빼고 'hard plain pottery'라 쓰기도 하더라. plain은 이렇다 할 무늬를 넣지 않았다는 뜻이니 저에서 하등 이상한 점은 없거니와 문제는 'hard'라, 도대체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 'hard'라고 할 수 있느냐 하는 고민을 유발한다. 나는 저 용어가 그 전 청동기시대 무문토기를 염두에 둔 것이므로 더욱 정확한 의미를 담으려면 'harder plain pottery' 정도로 옮겨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그 전시대 무늬없는 토기는 자연히 'softer plain pottery'가 되기 때문이다. 

<국립춘천박물관 중도식토기 전시코너>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중도식 토기란 저 경질무문토기를 말한다. 이 경질무문토기가 지닌 가장 큰 특징이 종래와는 소성도가 높다는 점을 지적했거니와, 다시 들어가서 다른 특징을 보면, 빛깔은 대체로 약속이나 한 듯이 불그레죽죽한 빛을 띤다. 이 시대에 빛깔을 달리하는 다른 토기도 있으니, 회청색경질토기가 그것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빛깔로써 경질무문토기와는 구별하려 하는 것인데, 그 빛깔이 회청색 거무틱틱 계열인 까닭이다. 

흐름을 보면 애초엔 경질무문토기가 먼저 등장해 유행하다가, 그것이 한창 흥성하던 무렵에 회청색 경질토기가 등장해 경쟁하다가 후기로 갈수록 후자 비중이 늘어난다고 고고학계는 본다. '중도식토기'라면 이 시대 토기 중에서도 회청색 경질토기를 제외한 '경질무문토기'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안다. 


그건 그렇고 과연 고고학계가 정의한 '중도식토기(中島式土器)'란 무엇인가? 물론 그것이 전체 한국고고학을 대변할 수는 없겠지만 국립문화재연구소가 펴낸 '한국고고학사전(2001)'에는 저 표제어로 수록됐거니와 그 정의와 설명, 그리고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다. 

설명

중도 주거지유적 출토 토기를 표지로 하는 중부지역의 초기철기 또는 원삼국시대의 토기를 말한다. 한강유역 철기시대 토기는 크게 3개의 기술적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경질무문토기로 청동기시대 이래의 무문토기 기술전통에 새로운 고화도 소성의 기술이 가미되면서 나타난 유형이고, 둘째는 타날문토기로 철기문화의 보급과 더불어 새로이 등장하는 제작전통인데 주로 호와 같은 기종에 많이 채택된다. 셋째는 회색 또는 흑색의 환원소성토기로 기벽 등 표면처리에 타날문이 없는 무문양의 토기이다. 이른 시기의 유적에서는 경질무문토기의 상대빈도가 높고 늦은 시기의 유적에서는 타날문토기와 회(흑)색무문토기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한강 유역의 철기시대 경질무문토기의 기종 중에서 주류를 이루는 것이 중도식토기로 불리우는 평저외반구연호인데, 중도식토기는 축약 평저나 말각평저(抹角平底)에 배가 부른 갸름한 난형(卵形)의 동부, 밖으로 외반된 구연부를 갖는 형태의 토기로, 몸통의 최대경이 상부에 있으며, 저부의 안쪽은 들린 것과 편평한 것이 있다. 한강유역 철기시대 주거지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강릉 초당동, 양양 가평리, 명주 안인리, 남쪽으로 제주도 곽지패총까지 분포하고 있다. 외반구연평저호는 함북에서도 출토되고 있으나 직접적 관련이 있는지 확실치 않으며, 전통적인 무문토기 제작수법이 한식토기와 같은 외래토기의 영향을 받아 기형의 변화를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송국리형 토기를 그 조형으로 보는 설도 있으나 시기적인 차가 있어 연결에 무리가 있다.

편년에 관해서는 중도 유적 발굴보고서에서는 중도 1호 주거지 출토의 철촉이 북창군 대평리 유적의 상층 출토품과 유사하지만 오히려 토기상은 중층과 유사한 점과 마장리 유적에 대한 김원룡의 연대(B.C. 2세기~기원전후)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1~2세기로 추정하였다. 이 연대는 이후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용되었고 중도식 토기 유적의 연대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中部地方 原三國 文化의 編年的 基礎-住居址의 相對編年을 中心으로-(宋滿榮, 韓國考古學報 41, 韓國考古學會, 1999), 利川 孝養山遺蹟 發掘調査 報告書(湖巖美術館, 1995), 韓國의 先·原史土器(國立中央博物館, 1993), 中島積石塚發掘報告(朴漢卨?崔福奎, 中島發掘調査報告書, 1982), 中島 3(池健吉 외, 國立中央博物館, 1982), 中島 1(李健茂 外, 國立中央博物館, 1980)

지금 내 책상머리에 저 오프라인 사전이 없어 이 항목 집필자가 웹상에서는 확인되지 아니하는데, 어투 혹은 문투로 보면 이성주 선생 같다. 아니라면 몹시도 실례한 셈이 되겠지만, 저 양반 아니고서는 저리 어렵게 쓰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한국고고학 대중화를 표방한 저 사전이 말하는 '중도식무문토기'...저 설명 보고 중도식 무문토기가 무엇인지 이해했다는 사람 손들엇! 

장담하거니와 단 한 사람도 저 사전을 통해 중도식 무문토기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다. 왜 저런 일이 발생했는가? 고고학도들끼리 장난 쳤기 때문이다. 원고가 철저하지 아니했고, 그것을 감수하는 자들조차 까막눈이었기 때문이다. 저런 일반교양 대중을 표방한 사전은 해당 표제항목 집필은 저 분야 전문가가 쓴다 해도, 그것을 윤문하고 재가공하는 일은 기자나 문필가들 몫이어야 한다. 

그런 과정이 몽땅 누락됨으로써 저런 처참한 광경이 벌어졌다.  

<국립춘천박물관 중도식토기 전시코너>

저 사전 집필을 어떤 이들이 주도했는지 내가 좀 안다. 한국 학계에선 고질이 있으니, 다른 분야 전문가가 참석하는 일을 지질이도 싫어해서 그것을 나와바리 침범으로 간주한다. 그리하여 감수 혹은 윤문을 그들의 권리에 대한 침해로 간주하면서, 아마추어들이 무얼 알겠느냐는 인식이 팽배하다. 내가 저 사전을 감수했더라면, 적어도 저 항목은 흔적도 없이 지워버리고 새로 썼으리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