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sWho in Ancient Korea

여노(如孥)

by taeshik.kim 2018. 2. 19.
반응형


삼국사기 권 제17(고구려본기 제5) 미천왕본기 : 20년(319) 겨울 12월에 진(晉)나라 평주자사 최비(崔毖)가 도망쳐 왔다. 이전에 최비가 은밀히 우리 나라와 단씨(段氏)ㆍ우문씨(宇文氏)를 달래 함께 모용외(慕容廆)를 치게 했다. 세 나라가 극성(棘城)을 공격하자 [모용]외가 문을 닫고 지키며 오직 우문씨에게만 소와 술[牛酒]을 보내 위로했다. 두 나라는 우문씨와 [모용]외가 음모한다 의심하고 각각 군사를 이끌고 돌아갔다. 우문씨의 대인(大人) 실독관(悉獨官)이 “두 나라가 비록 돌아갔으나 나는 홀로 성을 빼앗겠다”고 했다. [모용]외가 그 아들 황(皝)과 장사(長史) 배의(裵)를 시켜 정예군을 거느리고 선봉에 서게 하고, 자신은 대군을 거느리고 뒤를 따랐다. 실독관이 크게 패하고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최비가 이 소식을 듣고 자신의 형의 아들 도(燾)를 시켜 극성(棘城)으로 가서 거짓으로 축하하게 하였다. [모용]외가 군사를 이끌고 맞이하니, [최]도가 두려워 머리를 조아려 사실을 고하였다. [모용]외가 [최]도를 돌려보내고 [최]비에게 “항복하는 것은 상책이고, 달아나는 것은 하책이다.”라고 말하고, 군사를 이끌고 뒤따라갔다. [최]비가 수십 기마병과 함께 집을 버리고 [우리나라로] 도망쳐 오고, 그 무리가 모두 [모용]외에게 항복하였다. [모용]외가 그 아들 인(仁)으로 하여금 요동을 진무(鎭撫)하게 하니 관부와 저잣거리가 예전과 같이 안정되었다. 우리나라 장수 여노(如孥)는 하성(河城)을 지키고 있었는데, [모용]외가 장군 장통(張統)을 보내 습격해서 그를 사로잡고, 그 무리 천여 가를 사로잡아서 극성으로 돌아갔다. 왕은 자주 군사를 보내 요동을 침략하였다. [모용]외가 모용한(慕容翰)과 모용인을 보내 [우리를] 치게 하였는데, 왕이 맹약을 구하자 [모용]한과 [모용]인이 돌아갔다.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시루(歃矢婁)  (0) 2018.02.19
상부(相夫)  (0) 2018.02.19
최비(崔毖)  (0) 2018.02.19
사유(斯由)  (0) 2018.02.19
소우(蕭友)  (0) 2018.02.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