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장맛비 쏟아지는 여름날에

by taeshik.kim 2018. 7. 16.
반응형


한시, 계절의 노래(109)


여름 풍경(夏景)


 송 여휘지(吕徽之) / 김영문 選譯評 


대나무 안석 등나무 침상

돌 연병(硯屛) 펼쳐둔 곳,


주렴에 훈풍 불어

향불 연기 맑게 스미네.


빈 서재에 후드득

장마 비 떨어지고,


파초 잎 초록빛이

뜨락에 가득하네.


竹几藤床石硯屛, 薰風簾幕篆煙淸. 空齋數點黃梅雨, 添得芭蕉綠滿庭.


옛 선비들은 무더운 여름을 나기 위해서 몇 가지 피서 용품을 준비했다. 우선 단오 무렵 합죽선(合竹扇)을 선물로 주고받았다. 에어컨이나 선풍기가 없던 시절에는 부채가 여름 나기 필수품이었다. 부채에도 운치 있는 그림 또는 마음 수양을 위한 사군자를 그리거나 늘 가르침으로 삼을 만한 글귀를 써서 품격을 높였다. 여기에다 대나무 안석과 죽부인을 마련하여 몸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해 노력했다. 물론 모시 적삼이나 삼베 홑이불도 빼놓을 수 없는 여름 생활 용품이었다. 요란하지 않고 격조 있는 소품이라 할 만하다. 이 시에도 여름 무더위에 청량감을 불러올 수 있는 여름 소품 및 그것을 묘사하는 어휘가 가득하다. 대나무 안석(竹几), 등나무 침상(藤床), 전서(篆書)처럼 피어오르는 맑은 향불 연기(篆煙淸), 장마 비(黃梅雨), 파초 잎의 초록빛(芭蕉綠)은 모두 시원한 느낌을 선사한다. 이중 ‘전연청(篆煙淸)’이란 표현이 매우 향기롭고 고아하다. 옛 선비들은 장마철의 눅눅한 냄새를 없애고 마음을 정갈하게 유지하기 위해 좋은 향을 피웠는데, 하늘하늘 피어오르는 향불 연기 모양이 한자 전서(篆書)와 비슷하다고 전연(篆煙) 또는 향전(香篆)이라고 불렀다. 향불 향기가 은은하게 감도는 여름 서재에서 대나무 안석에 기대, 초록빛 파초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들으면 목전의 무더위 뿐 아니라 내 심신에 오래 스며 있던 폐습마저 깨끗이 사라질 듯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