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

by taeshik.kim 2018. 2. 22.
반응형

《漢書》전 100권 중 제30권을 차지하거니와, 제1편 서(序)․제2편 六藝略․제3편 諸子略․제4편 詩賻略․제5편 兵書略․제6편 數術略․제7편 方伎略의 7편으로 구성된다. 제3편 제자략(諸子略)은 諸子의 근원과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유가 : 유가자류(儒家者流)는 대개 사도(司徒)의 官에서 나왔다.

2. 도가 : 道家者流는 대개 사관(史官)에서 나왔다.

3. 음양가 : 陰陽家者流는 대게 희화(羲和)의 官에서 나왔다.

4. 법가 : 法家者流는 대개 이관(理官)에서 나와 信賞必罰로써 禮制를 돕는다.

5. 명가 : 名家者流는 대개 예관(禮官)에서 나왔다.

6. 묵가 : 墨家者流는 대개 청묘의 수(淸廟之守)에서 나왔다.

7. 종횡가 : 縱橫家流는 대개 행인(行人)의 官에서 나왔다.

8. 잡가 : 雜家者流는 대개 의관(議官)에서 나왔다.

9. 농가 : 農家者류는 대개 농직(農稷)의 官에서 나왔다.

10. 소설가 : 小說家者流는 대개 패관(稗官)에서 나왔다.


한편 이들 편을 세분하면, 

제1편 序는 총설이며,

제2편 육예략은 易․書․詩․禮․樂․春秋․論語․孝敬․小學, 그리고 六藝略 총설이며,

제4편 詩賻略은 굴원의 부․육가의 부․순경의 부․잡부․가시, 그리고 시부략 총설이며

제5편 兵書略은 병원모․병형세․병음양․병기교, 그리고 병서략 총설이며

제6편 數術略은 천문․역보․오행․시구․잡접․형법, 그리고 수술략 총설이며

제7편 方伎略은 의경․경방․방중․신선, 그리고 방기략 총설이다.


목록(目錄)

    ▲총서(總序)

    ▲육예(六藝) 

               역(易) 

               서(書) 

               시(詩) 

               예(禮) 

               악(樂) 

               춘추(春秋) 

               논어(論語) 

               효경(孝經) 

               소학(小學) 

               육예총론(六藝總論) 

     ▲제자(諸子) 

               유가(儒家) 

               도가(道家) 

               음양가(陰陽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묵가(墨家) 

               종횡가(從橫家) 

               잡가(雜家) 

               농가(農家) 

               소설가(小說家) 

               제자총론(諸子總論)

 

    ▲시부(詩賦) 

               굴부(屈賦) 

               육부(陸賦) 

               순부(荀賦) 

               잡부(雜賦) 

               가시(歌詩) 

               가부총론(詩賦總論) 

    ▲병서(兵書) 

    ▲수술(數術) 

    ▲방기(方技) 

(2005.04.21 18:48:5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