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현충사, 그 실타래를 풀며(1)

by taeshik.kim 2018. 1. 25.
반응형

현충사(顯忠祠)의 여러 층위와 박정희 현판 문제(1)

‘이충무공 유허’와 ‘현충사’, 그 괴리 


그의 탄강지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방화산 기슭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해군 총독으로 맹활약한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는 시설이 있으니, 이를 우리가 현충사(顯忠祠)라 하거니와, 현재 문화재청이 직접 관리하는 이 시설은 우선 면적이 방대하기 짝이 없어, 개인 사당으로 이토록 큰 규모는 없다.

 

시민공원을 겸한 이 현충시설은 또 하나의 국립묘지에 해당한다. 첫째, 그것을 직접 관리하는 곳이 중앙정부요, 둘째 그것이 보존정비된 내력이 이미 그런 특성이 농후하게 관철되었으며, 셋째 그 연례 제례를 관장하는 기관 역시 중앙정부인 까닭이다. 제관은 대통령이 하다가 김영삼 정부 이래 현재까지는 국무총리가 집도한다.

도대체 이런 국가현충시설은 어찌해서 어떤 내력으로 탄생했는가?


현충사 전면 주차장 이순신 기념물.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卽生, 必生卽死), 곧 죽고자 하면 살 것이요, 살고자 하면 죽고 만다는 그의 필적을 새겼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는 이 현충시설의 명패부터 새삼 확인해야 한다. 어떤 시설의 정체성을 간판만큼 적확히 표현하는 존재는 드문 까닭이다.

 

우리는 이곳에 당연히 현충사라는 간판이 있을 줄로 안다. 하지만 막상 그 입구 한 켠을 장식한 안내판을 보면 ‘아산 이충무공 유허(牙山李忠武公遺墟)’라는 대문 편액을 발견한다. 이곳이 더불어 국가 사적 제155호임을 적시한다. ‘현충사’가 아니다.

 

유허란 무엇인가? 남은 흔적이라는 뜻이다. 본래의 시설은 이미 망실되고, 그 터만 남았다는 뜻이다. 우리가 현충사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 이 시설은 왜 이름이 현충사가 아닌가? 그 해명을 위해 우선 이 안내판 본문을 보자.

 

아산 충무공 유허 안내판


“이곳 백암리 방화산 기슭은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이 혼인하여 살던 옛집과 공을 기리는 사당이 있는 곳이다. 충무공은 이곳에서 십년 간 무예를 연마하여 서른두 살 되던 해(1576년, 선조9년)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충무공이 순국하신지 108년이 지난 1706년(숙종 32년), 이곳에 공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을 세웠으며, 1707년 숙종 임금이 현충사(顯忠祠)라 사액하였다. 그 뒤 1868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사당이 훼철되었으나, 일제시대인 1932년 동아일보사가 주관하여 온 겨레의 정성으로 사당을 다시 세웠다. 1945년 광복 후에는 매년 4월 28일에 온 국민의 뜻으로 탄신제전을 올려 공을 추모하여 왔다. 1966년부터 1974년까지 공의 위업을 기리고자 고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성역화사업을 시행하였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현충사 유적 정비 사업을 통해 충무공이순신기념관을 건립하였다.”

 

자, 이를 통해 우리는 왜 이곳이 현충사가 아닌 ‘충무공 유허’임을 안다. 이곳은 그의 넋을 기리는 현충사라는 사당만이 아니라, 그가 기거한 옛집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안내판의 충무공 유허 배치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