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가시권에 들어온 궁예도성 발굴

by taeshik.kim 2018. 9. 19.
반응형

아래와 관련한 언론보도는 다음을 클릭하라. 


휴전선이 가른 '태봉국 철원성' 조사 이뤄지나



오늘 평양 남북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공동 기자회견 직후 국방부 대북정책관실에서 배포한 백 브리핑 자료다. 이를 보면 공동유해발굴 건이 들어가 있음을 본다. 



유해발굴은 현재까지는 국방부 산하 전문 조사기관이 전담했다. 이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국방부 유해발굴에는 고고학도가 생각보다는 깊이 개입된 지 오래고, 실제 고고학 종사자가 많다. 다만, 이 유해발굴 역시 고고학적 조사방식을 폭넓게 도입해 고고학적 지식을 좀 더 많이 가미해야 한다는 지적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나는 본다.  





한데 이에서 문화재계가 주목해야 할 대목은 휴전선 일대에 포진하는 역사유적 공동 조사 추진 방침이 들어갔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조사대상지가 있을까?  


그 대목이 이 백브리핑 자료에는 다음과 같이 좀 더 자세히 부연해 등장한다.   


비무장지대내 역사유적 공동조사・발굴

(2조 ④항) 쌍방은 비무장지대 안의 역사유적에 대한 공동조사 및 발굴과 관련한 군사적 보장대책을 계속 협의하기로 하였다. 

◦정부는 DMZ내 역사유적을 민족정체성 회복의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 민간 차원의 공동조사 및 발굴 추진 

◦남북군사당국은 이러한 남북간 문화교류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역사유적에 대한 공동조사 및 발굴 관련 지뢰제거, 출입 및

안전보장 등 군사적 보장대책을 마련

◦우선 조치로 DMZ내 ’태봉국 철원성‘ 등 발굴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남북군사당국간에 의한 군사적 보장 합의 선행 필요

∙남북군사당국간 합의를 통해 역사유적에 대한 공동조사 및 발굴 관련 지뢰제거, 출입 및 안전보장 등 군사적 보장대책 마련

◦남북간 군사적 보장 합의를 통해 관련 당국에서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이는 남북 공통의 역사유적을 복원하고 민족동질성 회복에 기여 가능 


이에서 보듯이 그 구체 대상지로 궁예도성이 등장한다. 이 궁예도성을 이 문서에서는 '태봉국 철원성'으로 부른다. 물론 이렇다 해서 당장 궁예도성이 발굴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보다시피 이는 추진 방침을 선언한 데 지나지 않고, 더구나 지뢰지대라 조사에 앞서 무엇보다 그 제거 작업이 있어야 한다. 더불어 그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는 군사분계선 처리 문제도 골치 아프기만 하다.  


하지만 그런 까닭에 궁예도성이야말로 더없이 남북교류협력에서 지닌 상징성을 클 수밖에 없다. 이곳을 조사한다 함은 휴전선이 뚫림을 의미한다. 단순히 공동조사에서 그치지 아니하고, 명실상부 공동발굴조사다. 


그런 꿈과 같은 날이 있기를 손꼽아 기다려 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