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채3

접어 포개서 시신 얼굴가리개로 쓴 신라금동관 6세기 초반에 만들었다 추정하는 신라 적석목곽분인 경주 황남동 120-2호분은 발굴 결과 금동관을 접어서 시신 얼굴가리개로 쓴 것으로 드러났다. 저 금동관이 얼굴을 거의 온전히 가린 것은 분명하되 그렇다면 저걸 머리를 아예 다 덮어씌운 것인지 아니면 절반을 포개서 수건처럼 얼굴에 댄 것인지가 궁금해 조사단에 직접 확인한 결과 후자임이 확실하니 그것 관이 접힌 부분이 명백히 드러났기 때문이라 한다. 얼굴 부분만 떼서 보면 이렇다. 앞선 관련 글에서 내가 잠깐 말했듯이 이 전통이 같은 경상도 문화권에서 시대를 좀 거슬러 올라가면 부채를 저런 용도로 쓰기도 함을 본다, 부채로 저런 식으로 시신 얼굴을 가리는데 지금으로부터 대략 이천년전, 그러니깐 저보단 대략 오백년 정도 빠른 서력기원 전후 이른바 통나무 목관.. 2020. 9. 4.
전통시대의 에어컨, 부채 한시, 계절의 노래(131) 대나무 부채 두 수(竹扇二首) 중 첫째 송 왕질(王質) / 김영문 選譯評 죽순 껍질 비단 옷을남김없이 벗고서 대 한 그루 변화하여천 가닥 부채살 됐네 시원한 바람 일으키며세상 더위 받지 않는데 그 누가 맑은 바람이쉴 때가 있다 하나 脫盡龍兒錦繡衣, 一枝變化作千絲. 泠然不受人間暑, 誰道淸風有歇時. 더위를 쫓는 여름 용품 중에서는 부채가 가장 클래식하면서 가장 널리 보급된 인기 품목에 속한다. 휴대하기 편리하고, 바람 일으키기 쉽고, 예술적 품위까지 갖출 수 있다. 선풍기나 에어컨이 좋다 해도 어떻게 내 몸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까? 또 최근 유행하고 있는 손풍기는 배터리로 작동하므로 배터리가 떨어지면 무용지물이 된다. 바람의 질과 양도 변변치 않고 소음도 작지 않다. 하지만.. 2018. 8. 1.
부채 같은 신세는 되지 말지니 아래 시는 《옥대신영玉臺新詠》 권1에 작자를 반첩여班婕妤라 해서 수록한 작품이거니와 이 시가 논란을 거듭한다. 시 형태로 보건대 운율을 갖춘 오언시가 되거니와, 반첩여가 활동한 전한 말기에 이런 형태가 나오기란 마른 하늘 날벼락과 같다 해서 작자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안다. 《옥대신영》에는 다음과 같은 서문이 붙었거니와, 옛적에 한(漢)나라 성제(成帝)의 반첩여(班婕妤)가 총애를 잃어 장신궁(長信宮)에서 태후를 공양하게 되니, 이때 부(賦)를 지어 스스로 상처받은 마음을 풀어내고 아울러 원시(怨詩) 1首를 지었다. (昔漢成帝班婕妤失寵,供養於長信宮,乃作賦自傷,並為怨詩一首) 그 전문은 다음과 같다. 新裂齊紈素 제 땅에서 난 비단 새로 자르니鮮潔如霜雪 곱고 깨끗함 눈서리 같네 裁為合歡扇 마름해 합환 부채.. 2018.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