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약밥2

약밥의 기원 필자는 청동기시대 토기가 그안에 물을 부어 조리하는 방식으로는 밥을 만들수 없고 용기의 특성상 아마 밥을 쪄서 만들었을 것이란 가정 하에 곡물을 쪄서 만들어보는 실험을 몇 가지 해 보았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찐밥을 상당히 오래 먹어왔기 때문에 찐밥에서 뜸들이는 밥으로 전환하여 지금같은 밥 짓기가 정착했으리라 보고, 그 전환에는 무쇠솥 등의 발명이 관련이 있을 것이라 보았다. 막상 찐밥을 만들어 보니 결국 청동기시대 시루밥이 가능하냐 아니냐의 여부는 뚜꼉이 제대로 기능했느냐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지금도 먹는 "약밥"의 레시피가 사실 이런 찐밥 레시피와 같다는 것이다. 1. 찹쌀을 물에 불려 시루에 쪄낸다. (찰밥 짓기) 2. 쪄낸 쌀에 감미료,[3] 기름, 간장 등을 섞어.. 2023. 11. 11.
[추적, 한국사 그 순간 –9-] ‘사금갑’ 스토리 알고보니 신라 왕실 뒤흔든 비처왕비 간통 스캔들 [중앙선데이] 입력 2017.02.05 05:35 수정 2017.02.05 06:40 | 517호 23면 조선 초기에 완성된 편년체 역사서인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와 『동국통감(東國通鑑)』에서 해당 연월(年月)을 보면 안정복이 말한 사건과 분명히 대응되는 사건이 보인다. 한데 자세히 살피면 이는 『삼국유사』기이(紀異)편에 ‘사금갑(射琴匣)’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것과 같은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 사냥 갔던 비처왕 까마귀 말 듣고 궁궐로 돌아와 거문고 상자에 화살 사랑 나누던 왕비 선혜·승려 적발 승려는 죽이고 왕비는 폐위 시켜 사금갑은 신라를 배경으로 한 설화성 짙은 이야기다. 간단히 골자를 추리면 비처왕(毗處)이라고도 하는 신라 제21대 소지왕(炤知王·재위 .. 2018.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