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골탑13

못다 한 말, 아니한 말 나는 농촌. 개중에서도 깡촌 출신이다. 천수답이란 말을 기억이나 하는지 모르겠다. 선친과 엄니는 이 천수답으로 연명했다. 부칠 땅이 없고 더구나 돈도 없으니 가난의 악순환이었다. 언젠가 말했듯이 나는 송아지 팔아 등록금 냈다. 소라고 해야 한 집에 한 마리다. 한데 이 소는 일년에 송아지라 해봐야 꼴랑 한마리를 낳을뿐이다. 이걸 지탱하는 절대의 힘은 실은 정부의 보호막이었다. 요즘 말로 거창하게 하면 보호무역주의 덕택이요 정부 수매가 절대의 존재기반이었다. 한데 어느 순간 이 보호막이 무너졌다. 1986년 연말의 일로 기억하는데 황송아지 한 마리가 150만원 정도 하다가 하루 아침에 15만원으로 곤두박질쳤다. 그 길로 나는 군대를 갈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이듬해 상반기에 나는 카투사 시험을 쳤고 그에.. 2023. 8. 1.
우골탑과 사람 값 (경향신문 1978) 전술한 전종휘 선생은 일제시대 의대를 졸업하고 해방이후 한국 전염병 의학 토대를 닦은 분 중의 한 분이다. 이 분 이야기 중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어 적어 둔다. 전종휘 선생 이야기를 다른 분이 전언하여 기사화한 이야기다. 이것이 1960년대 이야기인데, 이렇게 한번 죽으면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울었다는 그 소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 소가 팔려 집안 아들을 대학에 보냈다. 그게 우골탑이다. 그리고 지금은 위 기사에 나오는 두 가지 문제, 의료와 교육문제를 다 잡은 상태인데, 한국의 근대화가 일본의 근대화보다 더 위대한 과정이었다고 필자가 보는 것이 바로 그런 이유이다. 2023. 5. 28.
놀고 대학생은 왜 생겨나는가? 필자가 쓰는 이글 속의 "놀고대학생"이란 대학이라고 보내놨더니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놀고 먹는 녀석이란 뜻으로 쓴 것이 아니다. 물론 대학생이면서 놀고 먹었으니 "놀고대학생"이라 부른 것은 분명한데, 이 "놀고대학생"이 동아시아에서는 국가적 산업화 시기에 집단적으로 출현한 시기가 있었다. 본인이 원하건 아니건 간에 "놀고대학생"이 될 수 밖에 없던 시대가 존재한다는 말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960-80년대까지, 소위 "우골탑" 시대와 이 "놀고대학생" 시대가 같이 도래했다. 이 두 가지가 함께 포개져 나타나면서 부모가 "소팔고 대학 보내놨더니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기타나 치면서 데모나 하는" 놀고대학생의 이미지가 생겨난것인데-. 사실 대학생이 논 이유는 간단하다. 학교를 가봐야 .. 2023. 4. 9.
일제시대 교육과정 착시의 이유 앞에서 쓴 것처럼 일제시대 학력을 우리가 볼 때, 고등보통 (고보)를 고등학교, 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인지하는 일이 많다. 이때문에 일제시대 고보, 전문학교 졸업생들을 고등하교, 대학 졸업생으로 생각하는데, 이는 해방이후 전문학교를 대학으로, 그 하위교육기관은 고등학교 (혹은 중학)으로 재편제하면서 나오는 착각이다. 앞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당시 조선인 학력을 보면, 보통학교--양정고보--보성전문--메이지대 전문부 (법학졸업) 손기정 선생 이런 학력처럼, 양정고보, 보성전문을 각각 고등학교, 대학으로 인지하면 보통학교와 고보 사이에 중학과정이 없는 것을 알게 된다. 때문에 전문학교를 졸업해서는 절대로 "대졸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당시 조선에서 공부한 사람 대부분이 이런 상황이었기 때문에 30년대 이후.. 2023. 3. 26.
일제시대 최규하 전 대통령의 예 다음으로 일제시대 최규하崔圭夏(1919~2006) 대통령의 이력을 보자. 이 분 학력을 보면 이렇다. 원주보통학교-경성제일고보-도쿄고등사범-만주국립대동학원 앞에 손기정 선생의 예에서 언급했듯이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최 대통령이 진학한 학교는 경성제일고보로 "중학교"과정이다.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과정으로 "도쿄고등사범"을 들어갔는데, 이때 최 대통령은 "경성제대 예과"에 동시 합격되었었다고 한다 (대학 예과와 고등사범, 고등학교는 동급으로 졸업후 대학본과로 진학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레벨이다). 이 "고등사범"이라는 학교는 "고등학교"가 조선에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땅에는 없던 고등 교육기관이다. 이는 경성사범, 대구사범 등 사범학교와는 다른 것이다. 조선땅에 있던 사범학교는 "소학교"를 졸업하면.. 2023. 3. 25.
일제시대 손기정 선생의 예 해방 전 식민지시대 교육제도는 해방 이후가 되면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된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하면 해방 전과 해방 이후에 정체성 변화가 크기 때문에, 해방 전의 고등학교를 "구제 고등학교"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구제중학교"도 있고 "구제전문학교", "구제대학"도 있다. 교육기관 앞에 "구제舊劑"라는 말이 붙으면, 일제시대 일본의 교육제도 아래 편성되어 있던 학교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일제시대 조선인 대상 교육 기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우리가 착각을 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특히 그 당시 실체보다 매우 부풀려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인 것을 하나 써보겠다. 우선 "고보高普"는 고등학교가 아니다. 이건 사람들이 가장 착각하는것 중의 하나인데, "고보"라고 하면 일제.. 2023.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