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포대화상2

이규보가 증언하는 배불뚝이 포대화상 포대화상(布帒和尙)에 관한 단편 하나를 이 블로그에서 나는 '포대화상의 시대'라는 제하 글로써 간략히 초한 적 있거니와, 그에서 나는 한반도 포대화상과 관련한 증언으로 가장 빠른 글 중 하나로 이규보를 언급했으니, 당시엔 나는 이 글을 직접 인용하지 않았으나, 오늘 이 자리에서는 그것을 직접 보기로 한다. 그 글은 이규보(李奎報·1169∼1241)의 방대한 문집 《동국이상국전집東國李相國全集) 권 제19 찬(贊) 중 하나로 실렸으니, '포대화상찬(布袋和尙贊)'이라는 글이 그것이다. 포대화상찬이란 포대화상을 상찬, 혹은 칭송한 글이라는 뜻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포대화상의 생태적 특징과 그것이 지닌 특성 혹은 장점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한다. 옮김은 한국고전번역원 제공본을 기본으로 삼아 보면 다음과 같다. 일.. 2018. 11. 11.
포대화상의 시대 실명을 적시하기 곤란한 전남 지역 한 사찰에 철퍼덕 걸터앉은 포대화상이다. 그가 주는 익살성 때문인지, 아니면 현전하는 그에 행적이 현대사회에 맞은 매력성이 있기 때문인지 국내 사찰마다 이런 포대화상 하나 안치하지 않은 사찰이 없다시피 하다.그에 관한 증언들을 종합하면 포대는 당말~송초 교체기 중간에 낀 오대 시대를 살다간 중국 불교승려다. 생김새는 저 조각과 같이 묘사되지만, 실은 저리 웃는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멀어 우락부락했다고 하거니와, 저 몸매를 유지하고자, 혹은 저 몸매가 되기까지 게걸스레 걸리는대로 남들한테 얻어먹으나, 반면 베풀기를 잘 했다 하니, 특히 어린이들한테 잘 했다 한다. 생김새만 보면 일본 스모선수 혹은 과거 씨름판에서 익살성으로 이름을 날린 박광덕과 흡사하다. 활동 시기가 저러.. 2018.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