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홍대용5

담헌을 만나는 길 3-장산리 석불입상 그리고 홍대용 생가터 홍대용과학관 아래엔 작은 집 한 채가 더부살이하듯 있다. 일부러 그쪽으로 좀 돌아서 내려가보니 '천안 장산리 석불입상'이라고 고려시대에 만든 돌부처시란다. 기둥모양 통돌을 깎아서 서 있는 부처를 만들었는데, 퍽 두꺼운 옷을 입으셔서인지 옷주름이 섬세하진 못하지만 제법 소박한 맛은 난다. 또 대좌에 '장명리 향도'란 글씨가 새겨져 있다니, 고려시대 이 지역 백성들이 한데 모여 이 분을 새기고 세웠을 장면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런데 보호각 앞 설명문을 보고 웃음이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 "풍만한 얼굴에 자비로움이 가득하고, 코는 무속적인 습속으로 훼손되었다." 라라나? 실제로 이분 코는 뭉그러진지 오래인지 시멘트로 때워져 있었다. 문제는 코뿐만 아니라 입과 눈에도 모두 시멘트가 베풀어졌는데 이 찬자께서 어.. 2024. 1. 1.
[조금솔직한리뷰] 홍대용과학관에는 홍대용이 있다! (2) 전시를 보고 나오는데, 저 멀리 토깽이와 나이 지긋해 보이는 선생님이 보였습니다. 그들도 전시를 보고 나오는 것 같았는데, 무슨 이야기를 나누는지 한 번 들어 보았습니다. 토깽이 : 선생님~~전시 재밌었어요. 같이 전시 봐주셔서 감사합니당. 선생님 : 별말씀을.ㅎㅎ 그래서 전시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면 무엇이었나요? 토깽이 : 아! 저는 360도 회전하는 자전거 타는 거요! 원심력을 활용해 슈슈슝~~~ 선생님 : 허허허. 담력도 좋아요. 나는 토깽이씨가 타는 거 보기만해도 아찔하더만요. 토깽이 : 제가 원래 간이 크잖아요? 히히. 원심력을 활용해 자전거를 타는 것도 재밌었고, 무중력 체험 하는 것도 좋았고, 밤하늘의 별자리를 보는 것도 좋았어요. 그런데, 이런 과학체험들이 ‘홍대용이랑 무슨 상.. 2021. 5. 20.
[조금솔직한리뷰] 그래도 홍대용과학관에는 홍대용이 있다! 최근 '아산장영실과학관'에 다녀왔기에 이번에는 '천안홍대용과학관'에 다녀왔다.'특정 인물을 주제로한 과학관'이라는 점에서 두 기관은 공톰점이 있고, 차이점이라면 당연히 주제로한 인물이 다르다는 점이다. 다만 여기서 또 다른 차이점이 있다면 '아산장영실과학관'에는 '장영실'이 없었지만, 그래도 '천안홍대용과학관'에는 '홍대용'이 있었다는 것이다. 무슨 말인지는 천천히 글로 풀도록 하겠다. 2층 기획전시실, 3층 상설전시실을 보았다. 2층 기획전시실은 천문과 관련한 사진전시여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루지 않기로 하겠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3층 상설전시실이다. 전시실 구성 설명은 홍대용과학관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으로 대신하겠다. 큰 제목만 보고 skip해도 무방하다. 홍대용주제관 홍대용주제관은 홍대용선생.. 2021. 5. 13.
홍대용 화상畵像은 이렇게 발굴되고 이렇게 공개되었다 각종 사전에서 홍대용洪大容(1731~1783)을 검색하면 화상畵像 하나가 빠지지 않고 소개되거니와 영정조시대를 살다간 이 위대한 조선후기의 실학자라는 사람 모습이라며 동시대 북경에서 그를 만난 중국인이 그린 것이다. 예컨데 구글위키피디아에서 홍대용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거니와 저 사진만 따로 검출하면 다음이라 이것이 바로 홍대용이다. 연배로 보면 연암 박지원보다 6살이 많은 그는 이른바 연암학파라 일컫는 인물들과도 직접 교유도 적지 아니했으며 유럽에서 유래하는 최신 사상 소개에도 주력해 지전설을 비롯한 괄목할 만한 주장을 열성으로 소개한다. 저 담헌湛軒을 소개할 적에 빠지지 아니하는 저 화상畵像...1999년 내가 천하에 공포함으로써 알려진 자료다. 이걸 찾은 사람은 따로 있어 순천향대 중문과 박현규 교수.. 2020. 10. 11.
필담筆談, 말을 대신한 문자의 소통 내장한 사진 정보를 보니, 촬영일자가 2007년 10월7일이라 박힌다. 중국 사천성 아미산 인근 낙산대불樂山大佛이라는 당나라 시대 거대한 강안江岸 불상을 친견하러, 배를 타고 가는 길이다. 강이 아니라 바다처럼 보이나, 이곳은 종국에는 장강長江이라는 거대한 강을 형성하는 지류 중에서도 세 강 줄기가 합쳐지는 지점이라, 벽돌탑이 희미하게 돌출한 저 강안 작은 산 오른편 강안에 전면을 바라보는 낙산대불이 서 있다. 내가 이곳은 아마 세 번인가 찾았다고 기억하거니와, 개중 첫 번째 아닌가 한다. 이때 조유전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과 월간조선 사진부장 출신 퍼타그러퍼 이오봉 선생, 《한국의 고고학》 발행인이자 도서출판 주류성 업주 최병식, 그리고 나를 포함한 네 명이 동행했다. 대불 현장으로 접근하는 배는 이곳 .. 2018.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