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by taeshik.kim 2020. 7. 26.
반응형

 

kyobo_10063820.pdf
1.04MB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김태식(Kim, Tae-Shik)
《백산학보》 68 (2004): 57-94

 

*** 

 

봉선封禪이란 무엇인가? 하늘에서 지상의 독점적인 지배권을 부여받았다고 간주되는 지상의 절대군주가 그에 보답하고자 하늘에서 가장 가까운 산상에 올라 지내는 제사다. 따라서 봉선이 감사하는 대상은 천신지기天神神祗다. 

 

봉선이란 이처럼 간단하다. 진흥왕이 왜 산상에 올랐는가? 이 또한 실로 자명하다. 봉선이다. 봉선을 거행하고자 하고 많은 곳 집어치고 산상에 오른 것이다. 

 

이 간단한 것을 모르는 자가 천지빼까리다. 헛소리가 난무한다.

 

예컨대 주로 불교사상사를 공부한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 최병헌은 이들 순수비를 염두에 두고서는

 

"또한 순수비의 수립 장소로서 북한산 비봉·황초령·마운령 등 높은 산 위를 택했던 것은 산천이나 하늘에 대한 제사 의례나 하늘에 대한 誓約 관념과 관련된 것으로 본다" (최병헌, 신라 진흥왕대의 국가발전과 정치사상 - 진흥왕순수비 · 황룡사장육존상 조성의 역사적 의의 - 신라문화新羅文化 第54輯,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9. 08)

 

고 말했거니와, 이것이 바로 봉선이다.

 

봉선을 눈앞에 두고도, 봉선인 줄 모르니 이것이 눈뜬 당달봉사 아니고 무엇이랴? 

 

***

 

 

북한산 비봉

 

 

Ⅳ. 결 론
소위 진흥왕 4대 순수비 중 창녕비를 제외한 나머지 세 순수비는 봉선의 기념비였다. 이러한 봉선제는 비록 그 표면에 유교적 왕도정치를 표방하고 있는 듯하나 그것은 괴력난신(怪力亂神)을 말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유가적 전통과 연결시켜서는 실로 곤란하다. 봉선제는 그 유래가 산악신앙과 결합한 신선사상에 있었던 것이며, 진흥왕 순수비 또한 그 위치가 하나같이 산정이며 더구나 제신으로 神祗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더구나 중국사에서 봉선대전 뒤에는 으레 따르기 마련인 그 기념비로서의 각석(刻石)의 전통이 진흥왕 순수비에서 그대로 반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 순수비가 봉선의 기념물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따라서 순수비는 이제 봉선비라는 좀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나아가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순수비문 그 자체에서는 널리 지적되고 있듯이 소위 왕도정치(王道政治)를 표방하고자 하는 흔적이 농후함은 부인할 수 없는 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유가적 전통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왕도정치가 유가적 특성이 되기 위에서는 그것이 오직 유가만의 전유물이 되어야 이런 주장은 성립할 수 있다. 하지만 노장 철학도 성인(聖人)에 의한 이상적 왕도정치를 내세우고 있고, 법가사상도 법률만을 강요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엄연히 왕도정치라는 테두리 안에서 그 사상이 추구되었던 것이다. 불교 또한 그것이 주창하는 정치철학은 왕도정치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적어도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역설적으로 말하건대 왕도정치를 펴지 말라고 주장한 부류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왕도정치를 유가적 특성이라고 단정함으로써 그것의 유가의 전유물로 삼고자 하는 주장은 성립 자체가 아예 불가능한 것이다. 봉선을 통해 진흥왕은 그 자신이 일군 신라왕국에 대한 독점적 배타적 지배권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한편 不老長生하는 신선이 되고자 했던 것이다.

 

 

북한산 비봉 진흥왕 순수비 

 

 


King Jinheung's ‘travelling monuments’ and the Fengshan sacrifice

 

Kim, Tae-Shik


There has not been any doubt that the four ‘travelling monuments’(巡狩碑) of King Jinheung(眞興王) of the Silla kingdom were to erected to confirm his sovereignty over the newly conquered people and territory and to gather the wholehearted support of the people by praising and rewarding persons who has done distinguished service to the kingdom. But such a opinion are completely denied by the locations of the monuments. Three of the four monuments are located in each high and dangerous mountaintop. That means the monuments have no readers! It has no doubt that any king cannot gather the support of the people or praise and reward a medal for merit on such a mountaintop.


However, the monuments definitely have each reader. Who are their readers? They are Heaven(天神) and Earth(地祇). Mt. Bukhansanbi(北漢山碑), one of the three monuments have records that the kingdom and its king are well reigned by the thanks of Heaven and Earth. The king who helped by Heaven and Earth should reward them in turn. Therefore, the monuments that contain such records were erected to praise Heaven and Earth. And we can see they
are the monuments for the celebration of the Fengshan(封禪) sacrifice, which was begun by the First Emperor(Qin Shihuangdi. 秦始皇帝) of the Qin dynasty right after his unification of China.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