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순철의 고고학소식57

통일신라시대 7각 건물 구미 문성리 549번지 유적 통일신라시대 7각 건물지 세종문화재연구원, 2020, 구미 문성리 549번지 유적 *** 편집자주 *** 요상하다. 북두칠성이야 뭐야? 적심 양상을 보면 사이사이 나중에 찡긴 듯한 느낌도 있다. 2022. 12. 13.
장수 침령산성 목간은 도조신道祖神 공헌물? 장수 침령산성에서 출토된 목간 명문입니다. 글 내용은 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원 보고서는 군산대학교박물관, 장수군, 2019, 장수 침령산성Ⅱ -침령산성 2~3차 발굴조사(집수시설)- **** 이상 차순철 선생 보고 혹은 소개다. 저 판독 중 別道中在道◎村 이것만은 확실한 듯하다. 이것만 본다면 어디에서 헤어지는 길에 이런 뜻인 듯하다. 그렇다면 在 뒤는 장소가 나와야지 싶다. 道◎村은 지명이지 싶다. 別道中은 길을 헤어지는 와중에, 혹은 헤어지는 길에...정도 아닌가 한다. 그렇다면 이건 도조신道祖神과 관련 있을 수도 있다. 헤어질 적에 안녕을 기원하면서 여행을 관장하는 신, 도조신한테 바치는 신물神物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품으로 그것과 관련있다 하는 목간과 비교가 될 수도 있겠.. 2022. 11. 22.
<신간 발굴조사 보고서> 경주 석탈해왕 사당지 - 토함산 탐방로 정상구간 긴급수습 발굴조사 보고서 보고서명 : 경주 석탈해왕 사당지 - 토함산 탐방로 정상구간 긴급수습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기관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발간일 : 2021년 6월 30일 내용 : 이 보고서는 토함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신라 석탈해왕 사당지에 대한 발굴조사 보고서이다. 토함산 정상 탐방로에는 초석 1매가 노출된 상태이고, 초석 주변으로는 지형 훼손이 계속 진행 되고 있었다. 훼손된 지역은 ‘경주 석탈해왕 사당지’ 내에 위치하며, 신라문화유산연구원에서 발굴조사한 결과 는 건물지 2동, 축대 2기가 확인되었고, 유물은 통일신라~조선시대 막새, 평와, 도기, 청 자, 분청사기, 백자 등이 출토되었다. 토함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은 평평한 대지에는 초석과 기와편이 노출되어 있어 일찍이 사당지로 추정하였고 주변으로 트여 있어 멀리 동.. 2021. 7. 20.
인동총忍冬塚? 오늘 갑자기 인동총忍冬塚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다. 기본자료는 홍사준, 1970, 유문개有文蓋의 청동합靑銅盒, 《고고미술》 제3권 제1호(통권 18호) 위치에 대한 내용은 齋藤努·藤尾慎一郎, 2010, 《日韓青銅製品の鉛同位体比を利用した産地推定の研究》,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 第158集 에 대략적인 범위로 표기가 되어있다. *** (台植補) *** 인동총이라는 말이 금시초문이라, 저 차순철 선생 소개에 즈음하여 관련 자료를 검색했더니만 인동총이라 명명한 데는 없다. 학술명칭으로 채택할 수는 없다. 문제의 청동합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이라는데 나는 본 적 없다. 다만 홍사준 저 글을 훑어보니 아래가 전문이라 옮긴다. 주술관계가 맞지 않는 데가 더러 있고 표현 역시 시대를 풍미한 일본투지.. 2021. 5. 8.
신라왕경의 옛물길 - 발천 경주 동부사적지대 발천 복원, 정비를 위한 학술대회 2021. 4. 26.
유라시아 고대 네트워크 국제학술회의 - 흉노와 한 2021. 4.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