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52

잠삼(岑參) 연보 이하는 서성 선생 글을 옮긴 것이다. 잠삼(岑參, 715-769)은 형주(荊州) 강릉(江陵) 사람으로 군망(郡望)은 남양(南陽)이다. 증조 잠문본(岑文本), 백조(伯祖) 잠장천(岑長倩), 백부(伯父) 잠희(岑羲)가 모두 재상을 지냈고, 부친 잠식(岑植)은 진주자사(晉州刺史)를 지냈다. 744년(30세) 과거에 급제하여 우내솔부(右內率府) 병조참군(兵曹參軍)이 된 후, 749년 안서절도사 고선지 막부의 장서기(掌書記)가 되어 서역에 종군하였다. 751년 장안으로 돌아와 시인들과 친교를 맺으면서 다음해에 두보, 고적, 저광희, 설거 등과 자은사탑에 오르며 시를 주고받기도 하였다. 754년 대리평사(大理評事), 감찰어사(監察御使)를 역임한 후, 안서북정절도판관(安西北庭節度判官)이 되어 두 번째 종군(從軍)하였.. 2018. 10. 2.
[唐] 잠삼(岑參) <백설가로 전송하며(白雪歌送武判官歸京)> 白雪歌送武判官歸京(백설가송무판관귀경)백설가로 서울로 돌아가는 무판관을 전송하며 [唐] 잠삼(岑參·715-770) 北風捲地白草折(북풍권지백초절) 북쪽 바람 몰아치니 흰풀이 꺾이고 胡天八月卽飛雪(호천팔월즉비설) 오랑캐 하늘엔 팔월에도 눈나리네忽如一夜春風來(홀여일야춘풍래) 문득 하룻밤새 봄바람 불어와 千樹萬樹梨花開(천수만수리화개) 천만 그루 배꽃 피운듯 散入珠簾濕羅幕(산입주렴습라막) 어지러이 주렴에 들어 장막 적시니 狐裘不煖錦衾薄(호구불난금금박) 갖옷도 따뜻하지 않고 비단이불도 얇네.將軍角弓不得控(장군각궁불득공) 장군은 각궁 얼어 당길 수도 없고 都護鐵衣冷難着(도호철의냉난착) 도호는 쇠갑옷 차가워 입지도 못하네瀚海闌干百丈氷(한해란간백장빙) 사막엔 이리저리 백길 얼음 펼쳐지고愁雲慘淡萬里凝(수운참담만리응) 수심어.. 2018. 10. 2.
잠삼 시에 자주 등장하는 북정(北庭)과 윤대(輪臺) 서성 선생 페이스북 포스팅이다. 잠삼의 시에 나오는 북정(北庭)은 어디인가? 먼저 "동한 때의 북정"에 대해 알아보자. 북정은 동한 때 흉노족이 남북으로 분열하면서, 북쪽을 통치하던 북선우가 거주하는 중심지이다. 이 중심지를 북선우정이라 하며 줄여서 북정이라 한다. 북정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고 자주 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东汉初期汉光武帝与匈奴通好,不断派遣使者前往赐财物,而单于骄倨益横,汉匈关系仍没有改善。东汉建武五年(29年),匈奴扶植卢芳为汉帝,割据五原、朔方、云中、定襄、雁门等五郡,都九原(今内蒙古包头市西南)。后降汉,被封为代王。后复叛,留匈奴历十余年。南北匈奴分立 在东汉初年,匈奴就大量进入塞内。46年前后,匈奴国内发生严重的自然灾害,人畜饥疫,死亡大半。而统治阶级因争权夺利,发生分裂。48年,匈奴八部族人共立呼韩邪单于之孙日逐王比为.. 2018. 10. 2.
동시대 시인들이 잠삼(岑參)을 언급한 시 정리 서성 선생이 정리했다. 杜甫 寄岑嘉州(229-2494)〈766.3同諸公登慈恩寺塔(216-2258)九日寄岑參(216-2258)渼陂行(216-2261)奉答岑參補闕見贈(225-2414)寄彭州高三十五使君適虢州岑二十七長史參三十韻(225-2427)泛舟送魏十八倉曹還京因寄岑中允參范郎中季明(227-2461) 王昌齡 留別岑參兄弟(140-1428) 賈至 早朝大明宮呈兩省僚友(235-2596) 儲光羲 同諸公登慈恩寺塔(138-1398) 獨孤及 同岑郞中屯田韋員外花樹歌(247-2770) 戎昱 贈岑郎中〈765.冬 2018. 10. 2.
풍년 들어봤자 절반은 빚잔치 절반은 세경 한시, 계절의 노래(187) 농부의 노래 다섯 수(田父吟五首) 중 셋째 [宋] 섭인(葉茵) / 김영문 選譯評 하늘이시여 농부들을생각해주소서 만 이랑 황금 물결온 땅을 덮었지만 곡식 있어도 자녀 위해계획 마련 못하고 절반은 빚 갚고절반은 세금 냅니다 老天應是念農夫, 萬頃黃雲著地鋪. 有穀未爲兒女計, 半償私債半官租. 70~80년대 대학가에서 우골탑(牛骨塔)이란 말이 유행한 적이 있다. 대학을 흔히 상아탑(象牙塔)이라 부르는 세태에 대한 풍자였다. 당시 시골 출신으로 대학에 다닌 사람들 대부분은 고향집 암소가 학비의 원천이었다. 암소는 지금의 경운기나 트랙터를 대신하는 우수한 농기계였을 뿐 아니라 1년에 한 번씩 송아지를 낳아 몫돈을 마련해주는 부동의 재테크 원천이었다. 암소가 마련해준 몫돈으로 대학을 다녔으니.. 2018. 9. 29.
목동의 노래 한시, 계절의 노래(186)*** 절구(絕句) [唐] 목동(牧童) / 김영문 選譯評 들판 가득 육칠 리에풀밭 널렸고 저녁 바람에 피리 소리서너 번 울려 황혼 후에 돌아와배불리 먹고 도롱이도 벗지 않고달 아래 눕네 草鋪橫野六七里, 笛弄晚風三四聲. 歸來飽飯黃昏後, 不脫蓑衣臥月明. 나는 시골에서 자랄 때 소 먹이는 목동(牧童)이었고, 나무 하는 초동(樵童)이었다. 이 때문에 목동과 초동의 실상을 나름대로 잘 이해한다고 자부한다. 대학 진학 후 중국문학과 한문을 공부하면서 각종 한시에 등장하는 목동과 초동을 접하게 되었다. 그런데 중국문학과 한문학에 나오는 목동과 초동은 그야말로 신선의 경지에 이른 영재들이었다. 백발이 성성한 신선 문하에 일찍 입문하여 특화한 신선 수업을 받는 속세 밖 신동에 다름 아니었다. .. 2018.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