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1694

강동육주, 고려거란전쟁의 최대 변수 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이 그 대미라 할 3차전을 향해 치닫는다. 그 전쟁의 야합이 이른바 강동6주였으니 이후 전쟁과 그 간헐 기간 내내 두 왕조는 이 강동육주를 사이에 두고 팽팽한 긴장을 연출하게 된다. 서희는 세 치 혀로 강동6주를 획득했던가? 아니다. 야합이 있었다. 고려는 송과의 조공책봉관계를 청산하고 거란에 칭신하는 대신 그 선물로 저 땅을 받았으니 그렇다면 왜 거란은 저 땅을 순순히 내어주었는가? 그네의 직접 통치력이 미치지 아니하지만, 신속하는 여진 땅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란으로서는 주나마나 아무런 중요성이 없는 땅이었다. 한데 이 땅이 이후 저리 비린내나는 전쟁 혹은 대치국면마다 그토록 중요한 변수가 될 줄 누가 알았을까? 고려도, 거란도 몰랐다. 애꿎은 여진만 피해를 봤을 뿐이다. #고려.. 2024. 1. 29.
《직설 무령왕릉 추보》 (6) 이빨은 출토지점도 모른다 이빨 고고학이 참상을 빚었다는 지적은 이미 내가 2001년 무렵에 했다. 나는 관재에 대한 분석도 없이 그 관재를 밤나무라고 지적한 발굴보고서 내용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이를 '밤나무 고고학'이라 명명했듯이, 무령왕릉에서 유일하게 인골로는 건진 어금니 하나를 대상으로 하는 눈대중 감정을 '이빨 고고학'이라 표현했다. 한데 관재는 정작 분석 결과 밤나무와는 하등 거리가 먼 일본 열도 특산 자생종인 금송으로 드러났으며, 이빨 역시 발굴보고서가 인용한 30대 여성 운운한 감정이 눈대중에 지나지 않았음이 이후 백일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우리가 이 지점에서 이 어금니 문제를 다시금 생각해야 할 대목은 이 어금니는 출토 지점을 모른다는 점이다. 그 출토 정황에 대해 김원룡은 발굴보고서에서 "구치臼齒의 법랑질만 남은.. 2024. 1. 29.
갈돌과 갈판, 이걸 궁구해야지 않겠는가? 이 갈돌과 갈판은 신석기시대 이래 청동기시대에 걸쳐 월드와이드한 출토 양상을 보인다. 물론 청동기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베리에이션 형태로 도구로 줄기찬 생명력을 자랑한다. 한국고고학은 이 갈돌 갈판 문제를 얼마나 심각히 바라보았는가? 양식 문제 말고 그 기능을 두고 얼마나 심각하게 바라보았는자 다시금 묻는다. 난 아무래도 저것이 인류사 혁명일 듯한데, 이런 측면들이 얼마나 제대로 심각하게 논급되는지 못내 의심한다. 왜? 내가 생각하는 그 중대성을 착목한 문제의식 자체도 아예 없기 때문이다. 뭐 우리도 다 생각했다 라고 하면 할 말 없겠지만... #갈돌 #갈판 #갈돌갈판 *** related article *** 돌갈판과 돌가루 돌갈판과 돌가루 빵을 주식으로 하는 문명권에서는 음식을 거칠게 만드는.. 2024. 1. 29.
[대물大物 이야기] 음낭만 비대한 사이고 다카모리 일본 근대사에서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1828~1877)보다 더한 굴곡 많은 삶을 산 사람 있을까? 일본 열도 규슈지방 땅끝마을 사쓰마薩摩 지방 번사藩士, 곧 사무라이 칼잽이인 그는 메이지유신이라 하지만 꿔다논 보릿자루 천황한테 권력을 돌려준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실상은 또 다른 막부 군사 쿠데타로 에도 막부 정권을 타도한 주역이었지만, 신정부에서 노선 갈등으로 권력투쟁에 패해 고향 가고시마鹿児島로 낙향한다. 그가 걸은 길을 보면 앞선 대물 열전 또 다른 주인공 여불위의 그것과 흡사한데, 낙향하고 난 다음 행보 역시 딱 여불위 그것이다. 전반으로 보아 사이고는 책략가라기보다는 우직한 군인이라는 인상을 나는 짙게 받는다. 그는 나라를 경영할 만한 인재는 아니었던 듯하고 돌격앞으로 딱 이에 어울리는 사람 .. 2024. 1. 28.
노자老子와 장 자크 루소 : 텍스트의 열림성 이른바 고전이라는 존재는 텍스트의 열림성을 생명으로 삼는다. 다양한 해석을 열어놓음으로써 생명력을 확장한다. 이른바 창조적 오독이라는 말도 있지만, 텍스트가 그것을 소화하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과 인식에 따라 왕청나게 달라지거니와 그 극단을 오간 것으로 노자와 루소를 나는 자주 든다. 노자. 이거 참말로 묘해서 딩가딩가 놀자판의 텍스트로 해석한 이가 압도적으로 많거니와, 실은 노자가 이렇게 압도적으로 해석된 시기는 얼마 되지 않아 위진남북조시대 현학玄學이라는 기풍이 일면서 장자와 한묶음이 되어 부어라 마셔라 하는 권리장전이 된다. 그러면 그 이전 노자는 어떠했는가? 압도적인 독법은 제왕학의 텍스트였다. 왕이 통치를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전범을 제시한 것이 노자였으며, 노자의 그러한 노골적인 정치성-이는 실.. 2024. 1. 28.
[대물大物 이야기] 거근巨根의 창시자 노애嫪毐 (5) 빡친 젊은 시황제 진 시황제 7년, 기원전 240년, 시황제 아버지 장양왕莊襄王 자초子楚의 생모인 하태후夏太后가 죽었다. 장양왕 아버지인 효문왕孝文王의 왕비 화양태후華陽太后는 남편 효문왕과 함께 수릉壽陵이라 일컬은 무덤에 같이 묻혔다. 시황제를 기준으로 할머니인 하태후랑, 증조모인 화양태후까지 모두 죽은 까닭에 당시 진秦나라 왕실에서 왕실 여성 어른은 시황제 엄마인 조희趙姬, 곧 조태후趙太后밖에 남지 않았다. 조나라 출신으로 그쪽에서는 여불위 첩이었다가 훗날 여불위가 장양왕 자초한테 바친 여성 말이다. 앞서 봤듯이 조태후는 남편이 죽자 홀로 밤을 참지 못하고 걸핏하면 여불위를 잠자리로 불러들였고, 이러다가 진짜 큰일 난다 생각하는 여불위는 오동나무 수레바퀴를 매달아도 끄떡없다는 대물 거시기의 소유자 노애嫪毐를 고자 내시인.. 2024.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