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sWho in Ancient Korea

교정(姣貞)

by taeshik.kim 2018. 4. 9.
반응형

신라 진흥왕 시대에 화랑 전신으로 원화가 설치될 때 그 우두머리 2명 중 한 명이다. 삼국사기와 해동고승전에는 그 표기가 준정(俊貞)으로 보이는데, 이는 俊과 글자가 비슷한 데서 유래한 誤寫인 듯하다.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은 성이 김씨요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이니, 심맥종(深麥宗)이라고도 한다. 양(梁) 대동(大同) 6년 경신(庚申.  540)에 즉위(卽位)했다. 백부(伯父)인 법흥왕(法興王)의 뜻을 사모해 한 마음으로 부처를 받들어 널리 절을 세우고, 또 많은 사람들에게 중이 되기를 허락했다. 왕은 또 천성이 풍미(風味)가 있어 크게 신선을 숭상하여 민가(民家) 처녀로 아름다운 이를 뽑아 원화(原花)를 삼았으니, 이는 무리를 모아 사람을 뽑고 그들에게 효제(孝悌)와 충신(忠信)을 가르치려 함이었으니, 이는 또한 나라를 다스리는 대요(大要)이기도 했다. 이에 남모랑(南毛娘)과 교정랑(姣貞娘)의 두 원화를 뽑으니, 이에 모인 사람이 3~4백 명이나 되었다. 교정(姣貞)이 남모(南毛)를 질투하여 술자리를 마련하여 남모에게 취하도록 먹인 후에 남몰래 북천(北川)으로 데리고 가서 큰 돌을 들고 그 속에 묻어 죽였다. 이에 그 무리는 남모가 간 곳을 알지 못해서 슬피 울다가 헤어졌다. 그러나 그 음모를 아는 자가 있어 노래를 지어 거리의 어린아이들을 꾀어서 부르게 하니, 남모 무리가 듣고는 그 시체를 북천(北川)에서 찾아내고 교정랑을 죽여 버리니, 이에 대왕(大王)은 令을 내려 원화 제도를 폐지했다. 그런 지 여러 해가 되자 왕은 또 나라를 일으키려면 반드시 풍월도(風月道)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다시 영을 내려 양가(良家) 남자 중에 덕행(德行)이 있는 자를 뽑아 이름을 고쳐 화랑(花娘(郞))이라 하고, 비로소 설원랑(薛原郞)을 받들어 국선(國仙)을 삼으니, 이것이 화랑(花郞) 국선(國仙)의 시초다.  그런 까닭에 명주(溟洲)에 비(碑)를 세우고, 이로부터 사람들로 하여금 악한 것을 고쳐 착한 일을 하게 하고 웃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에게 유산하게 하니 오상(五常)ㆍ육예(六藝)와 삼사(三師)ㆍ육정(六正)이 왕의 시애에 널리 행해졌다(국사國史에 보면, 진지왕眞智王 대건大建 8년 경庚(병丙)신申에 처음으로 화랑花郞을 받들었다 했으나 이것은 사전史傳의 잘못일 것이다).  

☞준정(俊貞)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본(密本)  (0) 2018.04.09
심맥종(深麥宗)  (0) 2018.04.09
교정랑(姣貞娘)  (0) 2018.04.09
남모랑(南毛娘)  (0) 2018.04.09
진자(眞慈)  (0) 2018.04.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