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김태식의 考古野談 석가탑 도굴 미수가 내린 축복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by taeshik.kim 2018. 1. 20.
반응형

김태식의 考古野談
석가탑 도굴 미수가 내린 축복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김태식|국토문화재연구원 연구위원·문화재 전문언론인
2017년 05월 호
 

1978년
1978년 경주 황룡사지 발굴조사 때 들어 올려진 구층목탑의 심초석. 가운데 네모난 구멍이 사리공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황룡사도 우리가 도굴했다.”  

1966년 석가탑 도굴 사건은 비록 미수에 그치기는 했지만, 범행 대상이 국내 어느 문화재보다 상징성이 큰 데다, 그 수법이 대담했으며, 더구나 도굴단 뒤에는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의 친형이 있었다는 점에서 그것이 미친 여파가 자못 컸다. 한데 경찰이 막상 도굴단을 붙잡아 여죄를 추궁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마수가 문화재 현장 곳곳에 뻗쳤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관련 언론보도를 종합하면 이들은 1964년 이후 경주와 주변 지역 석탑과 사찰, 그리고 고분을 범행 대상으로 삼았다. 이런 범행 대상에 뜻밖에도 경주 황룡사지 구층목탑 사리장엄이 들어 있었다.  

이해 9월 24일자 동아일보 7면을 보면, 도굴단을 검거한 서울시경이 전날 도굴범들을 대동하고는 범행 현장검증을 실시했다는 기사가 관련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 시경 수사과 제3계장 이억조 경감 지휘 아래 실시된 이날 검증에서 도굴범들은 덩그러니 터만 남은 목탑 현장에서 목탑 중심 나무기둥을 올려놓는 받침돌인 심초석(心礎石)을 어떻게 도굴했는지 재연했다. 목탑 바닥시설 한복판에 위치한 심초석은 동서 최장길이 435㎝, 남북 최장길이 300㎝, 두께 104~128㎝, 무게 30t으로 추정되는 불규칙한 타원형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였다. 

심초석 위에는 위가 뾰족하고, 그 한복판에는 기둥 구멍을 마련한 또 다른 거대한 화강암 덩이 하나가 덮개돌처럼 놓인 상태였다. 범인들은 이 덮개돌을 자동차 타이어를 갈 때처럼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릴 때 쓰는 기구인 잭(jack)을 이용해 밀어 올리는 장면을 재연했다. 덮개돌 아래 심초석 위쪽 중앙에는 한 변 길이 49㎝, 깊이 34.5㎝의 정사각형으로 움푹 파인 구멍이 드러났다. 이곳이 사리공(舍利孔)이라 해서 탑을 세울 때 부처님 진신사리와 함께 각종 귀중품을 안치하는 공간이다. 도굴단은 이곳을 턴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이곳을 도굴할 생각을 했으며, 그들이 턴 것들은 어떤 것이었을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이보다 대략 21개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1964년 12월 26일 자정 무렵, 훗날 석가탑 도굴 미수 사건의 주범이 되는 김모 씨는 인부 몇 명을 대동하고 황룡사 목탑 터 현장에 나타났다. 야음을 틈타 이들은 3t짜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오일 잭과 렌치를 이용해 심초석 덮개돌을 동쪽 부분에서 30㎝가량 들어 올리고는 사리공에서 각종 사리장엄 공양품을 걷어냈다. 범행이 알려지면 안 되므로, 덮개돌은 다시 제자리로 내려놓았다. 이들이 꺼낸 유물 목록을 당시 언론에서는 호박구슬 100점, 은제 밥그릇 3점, 동제(銅製) 도장 1점, 상자 1점, 각형 합(角形盒) 1점, 환봉(丸棒·둥근 막대기) 1점, 은술잔 1점, 기타 1점 등이라고 적었다. 이렇게 이들이 도굴한 물품은 공범 중 한 명인 윤모 씨를 거쳐 서울 인사동 K골동품상 주인 김모 씨에게 15만 원에 매각됐다.  

경주박물관 수위 출신 도굴범

이 도굴사건 주범과 공범 관계인 김씨와 윤씨는 비슷한 수법으로 경주와 인근 지역 중심으로 도굴을 일삼다가 마침내 1966년 9월, 실로 대담하게도 석가탑 도굴을 시도하다가 미수에 그치고 이것이 빌미가 돼 마침내 경찰에 덜미를 잡히고 만다. 석가탑 도굴 사건 여죄를 추궁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황룡사 목탑 터도 털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당시 사정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들이 먼저 불었을 리는 없을 테고, 아마 석가탑 도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경찰의 수사망이 전국 골동품업계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꼬리가 밟히지 않았나 하는 추측을 해본다. 그렇다면 이들은 도대체 어떤 경로를 통해 황룡사 목탑 터를 털 생각을 했을까.  

이런 의문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주시할 인물이 윤씨다. 석가탑 도굴 미수사건 당시 그는 나이 38세에 경주시 배반동 거주자로 등장한다. 한데 당시 언론보도를 보면 그는 이력이 묘한 데가 있으니, 바로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수위로 10년 정도 일했다는 점이다. 이미 고인이 된 지 오래인 그를 기억하는 경주 지역 인사는 제법 많다.

1962년 이래 1985년까지 한국일보와 연합통신(현 연합뉴스) 경주 주재 기자로 있으면서 문화재 분야를 전담한 우병익(84) 선생은 그의 이름을 대자 대뜸 “아, 그 도굴왕?”이라고 되묻는다. “하도 오래되어서 기억이 가물가물하기는 하지만 경주박물관 출신일 거야. 도굴을 일삼아서 도굴왕이라 했어. 첨성대 앞에 과수원이 있었거든. 그 과수원을 사서 고분을 도굴하던 친구야. 나쁜 놈이야. 그 친구가 석가탑도 도굴하고, 황룡사 목탑도 도굴했잖아”라고 한다. 

그에 의하면 당시 경주박물관은 명색이 국립박물관 지방 분관이었으나 “당시 직원이라고 해봐야 관장 1명에 행정주사 1명밖에 없었고, 나머지는 일용직이었다”면서 “경주박물관 학예사로는 강우방이가 처음일 것”이라고 한다. 훗날 국립경주박물관장을 지낸 저명한 미술사학자 강우방 선생 역시 “내가 1970년에 경주박물관 학예사로 갔는데, 내가 국립박물관 역사상 지방 박물관 학예사 1호야”라면서 “그전까지 관장만 있고 학예사는 따로 없었다”고 한다. 

윤씨는 이런 경주박물관에서 일용직으로 근무하는 가운데 아마도 유물과 유적을 보는 감식안을 터득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틀림없이 사리장엄이 석탑과 목탑 어디에 주로 안치되는지도 대략 파악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앞서 말한 동아일보 보도에서 도굴을 감행한 김씨 등이 “경주박물관에서 군복무 미필자로 퇴직된 윤씨의 지시를 받아 도굴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한 대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범행 현장에 동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윤씨가 무슨 지시를 내렸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사리장엄이 있을 위치를 지목했을 것이다.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윤씨를 도굴 현장으로 내몬 직접 원인 중 하나가 병역을 필하지 않았다 해서 박물관에서 쫓아낸 일이라는 점이다.

석가탑 도굴엔 왜 실패했나

현재의
현재의 황룡사지 구층목탑 심초석과 그 위의 덮개돌. [김태식]

 
1964년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도굴 성공에 자신감을 얻은 듯, 이들의 도굴 행각은 범위를 확대해 경주 남산 기슭 절터에서는 순금제 불상을 파냈는가 하면 양산 통도사를 털기도 했다. 그러다가 마침내 1966년 9월 초에는 석가탑을 범행 대상으로 삼기에 이른다. 이들에 의한 석가탑 도굴 미수사건을 다룬 지난 4월호 기사에서 충분히 언급하지 못한 대목이 있어 여기서 잠깐 살피기로 한다.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도굴에 성공한 이들이 왜 석가탑은 실패했던가. 경찰 수사 결과 윤씨 일당 4명은 9월 3일 낮, 경주시 배반동 윤씨 집에서 석가탑을 도굴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의해 이들은 그날 밤 11시, 3t 오일 잭을 휴대하고 경주지역 택시를 대절해 불국사에 도착한 다음, 야음을 틈타 석가탑 1층 옥개석을 올리려 했으나 실패했다. 돌이 무거워 잭이 견뎌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일당은 이튿날 밤 11시에 다시 석가탑으로 갔다.

이번에는 일당 중 한 명이 대구에서 긴급 공수한 더 큰 오일 잭을 동원했다. 하지만 허당이었다. 1층 옥개석을 들어 올리긴 했지만 사리공과 사리장엄 흔적이 없었던 것이다. 이들이 탑 몸통 중에서도 1층 탑신 덮개돌인 1층 옥개석을 들어 올린 이유는 다른 석탑 사례를 볼 때 사리공은 주로 1층 탑신에서 발견되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전 정보는 아무래도 윤씨가 제공했을 것이다. 

1층에서 실패한 일당은 5일 밤 11시에 다시 석가탑으로 간다. 참으로 집요했다. 이번엔 맨 꼭대기 3층 옥개석을 들어 올렸다. 하지만 이번에도 실패했다. 3층 탑신석에도 사리공의 흔적은 없었다. 이 장면을 보고는 실로 아찔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도굴 미수사건 여파로 그해 말, 문화재관리국이 석가탑을 해체했더니, 사리공과 사리장엄은 2층 탑신에 있었기 때문이다. 도굴꾼의 마수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이 2층 탑신 사리공에서 현존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이라는 무구정광다라니경이 나왔다. 

도굴에 노출된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현재 황룡사지 현장 사정을 보면 그 사역(寺域) 대부분은 발굴조사가 완료됐고 그 결과 건물 기초 부분이 드러난 상태로 정비가 이뤄졌다. 그 남쪽 전면 사역 바깥에서는 한창 발굴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남쪽 정문을 통해 사역으로 들어서면 우람한 사각형 토단(土壇)이 중앙에 턱하니 버티고 섰으니, 이곳이 바로 구층목탑이 있던 자리다. 그 한복판에는 앞서 말한 심초석과 그 덮개돌이 있다.

이곳이 바로 황룡사에서만이 아니라 신라 왕국의 중심이었다. 목탑 뒤편엔 이 탑 자리보다 규모가 더 큰 또 다른 토단이 있고, 그 중앙선을 따라 동서 방면으로 거대한 화강암 받침돌들이 줄을 짓고 섰으니, 이곳이 구층목탑과 함께 신라시대 삼보(三寶) 중 하나로 꼽히는 장륙존상을 안치한 금당이 있던 자리다. 

현재의 황룡사 사역은 1970년대 박정희 유신정권이 의욕적으로 추진한 문화재 관광 프로젝트인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에 따라 발굴조사와 정비가 이뤄진 결과다. 황룡사지 발굴은 이 계획 중 하나로 포함돼 1976년 4월부터 1983년 말에 이르기까지 8개년에 걸쳐 대대적인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이전에 황룡사지는 민가가 들어차고 논밭으로 개간되던 곳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중앙정부와 경주시는 민가 100여 호를 철거하는가 하면 연차로 토지도 매입하기 시작해 5만6000여 평을 사들였다. 현재 황룡사 일대는 원래의 황룡사 담장 안쪽 2만5000평을 포함한 주변 일대가 국유지 혹은 시유지다. 

이 관광개발계획 추진 이전에도 황룡사지 일부에 대한 정비가 이뤄졌다. 한데 이것이 그만 도굴꾼을 불러들이는 미끼가 될 줄은 어느 누구도 몰랐다. 도굴이 자행되기 바로 직전인 1964년, 문화재위원회는 황룡사 목탑지를 점거한 민가 한 채를 철거한다. 이때 사정을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가 펴낸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1984)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특히 목탑지 심초석 위로 민가의 돌담장이 마련되어 있어 관심 있는 학자들에 의한 고찰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그래서 문화재위원회에서 목탑지 심초석 위에 마련된 민가 1동을 철거하기로 결정하고, 1964년도에 민가를 철거함으로써 당초에는 노출되지 않았던 심초석이 뚜렷이 확인됨으로써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아울러 심초석 상면에 놓여 있던 방형 대석(方形大石·덮개돌을 말함)이 뚜렷이 노출되었고, 이를 그 상태로 보존키로 하였던 것이다.”(33쪽)  

보고서를 액면 그대로 믿는다면, 목탑지 민가 철거는 학자들을 위한 행정 조치였다. 현지를 찾는 연구자들이 불만이 많았던 모양이다. 민가가 점거하고 있으니, 그 유명한 황룡사 목탑 터를 제대로 볼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을 것이다. 이런 요구를 받아들여 민가를 철거해 마침내 목탑 터 바닥이 드러난 것인데 이것이 그만 학자들이 아니라 도굴꾼을 불러들이게 될 줄이야.

결과만 놓고 볼 때 민가 철거는 고양이 앞에 생선을 던진 꼴이었다. 하기야 민가 철거를 결정한 문화재위원회나 문화재관리국도 설마 이 목탑 심초석 아래에 도굴되지 않은 사리장엄이 고스란히 남아 있으리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다. 있었다고 해도 사리장엄은 당연히 도굴당하고 없었을 것이라고 여겼으니 말이다.

뒤늦게 드러난 신라사의 비밀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관련 유물 도굴사건은 정리하면 이렇다. 사건은 1964년 12월 26일 자정 무렵에 발생했다. 하지만 이 사건이 드러난 것은 2년이 지난 1966년 9월, 석가탑 도굴 미수사건이 터지고 그 범인들을 경찰이 체포하면서였다. 이들 유물은 당연히 곧바로 국가에 압수되고 국립박물관으로 옮겨갔다. 현재 이들 유물은 국립경주박물관 불교조각실에 상설 전시 중이다.  

한데 이 사리장엄 관련 유물이 제대로 빛을 보기까지는 다시 이보다 더 긴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이 대목에서 중요한 인물을 우리는 마주한다. 황수영(1918~2011). 동국대 교수로서 이 대학 총장을 지내고 1971~74년에는 국립박물관장을 역임한 한국불교미술사의 거장이다. 문화재위원을 오랜 기간 맡았으니, 석가탑 도굴사건이 터졌을 때는 문화재위원회 피해조사반장이기도 했다.  

이런 황수영에게 실로 묘한 인연은 도굴 직후 서울로 올라온 황룡사지 목탑 사리장엄 도굴품을 그가 직접 실견했다는 사실이다. 이와 관련해 황수영은 생전에 쓴 어떤 글에서 “이런 불행한 찰나(도굴사건이 터진 그때)에 서울에서 이 사리구(舍利具·사리장엄)의 감정 의뢰를 받은 필자”라고 했다.

앞서 보았듯이 당시 경찰 조사 결과 이들 사리장엄 관련 유물은 서울 인사동 한 골동품상에게 15만 원에 팔린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골동품상이 아마도 황수영에게 감정을 의뢰한 듯하다.  

황수영이 감정한 유물 중에는 3장을 이어 붙인 가로 23.5㎝, 세로 22.5㎝인 금동판이 있었다. 황수영은 “이들 금동판에 문자가 있다는 사실만은 이것을 초견(初見)한 1964년에 알 수가 있었는데, 그 전면에는 두껍게 녹수(錄銹·녹을 말함)가 덮여 있어 오직 수삼자(數三字)의 존재만을 식별할 수 있었을 따름”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사정이 변한 것은 1971년 9월, 그가 국립박물관장에 임명되고 나서였다. 관장 취임 이후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 유물 정리에 착수한 그는 1972년에는 원자력연구소 김유선 박사에게 의뢰해 “표면의 녹을 제거하기에 이르러 마침내 도금된 각판 내외의 명문(銘文)을 거의 판독함에 이르렀다”고 한다. 

녹을 벗은 이 금동판은 놀랍게도 황룡사 목탑 창건과 신라 경문왕 11~12년(871~872)에 걸친 탑 수리 과정을 정리한 문서였다. 글자는 금동판 앞뒤에서 총 74행에 걸쳐 905개가 확인됐다. 이에 의해 이 문서는 제목이 ‘황룡사 찰주본기(皇龍寺刹柱本記)’이며 글은 박거물(朴居勿)이 지었음이 밝혀졌다.

문서를 보면 선덕여왕(善德女王) 12년(643), 중국 유학에서 돌아온 자장(慈藏)의 건의에 따라 탑을 조성하기 시해 같은 왕 15년(646)에 완성했다. 그러다가 90여 년이 지나 탑이 기울어져 경문왕 11년에 중수를 시작해 이듬해에 마쳤다고 한다.

이 찰주본기는 수리에 관여한 당시 관리들 명단을 적었으니 김위홍(金魏弘)이 총책임자로 등장한다. 신라 향가를 집대성한 ‘삼대목’의 편찬자이자 진성여왕의 연인으로 유명한 그 위홍이다. 이 찰주본기는 대략 황룡사 구층목탑의 내력이 삼국유사에 정리된 그것과 큰 골격은 같지만 신라사와 관련한 새로운 내용 또한 적지 않게 알려준다. 

이 찰주본기를 포함해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구는 도굴, 더욱 정확히는 석가탑 도굴 미수가 내린 선물이었다.   
 

 
김태식 
● 1967년 경북 김천 출생  
●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학사, 선문대 고대사·고고학 석사 
● 저서 : ‘풍납토성 500년 백제를 깨우다’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 ‘직설 무령왕릉’ 
[출처] 김태식의 考古野談 석가탑 도굴 미수가 내린 축복 황룡사 목탑 사리장엄|작성자 지도로1자5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