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느닷없이 나른 땅끝마을 쥬라식 파크 (5) 주눅한 백악기

by taeshik.kim 2020. 9. 18.
반응형

병아리도 알을 깨고 나와 처음 본 사람을 엄마로 안다 하거니와, 나한테 각인한 다도해는 목포 유달산에서 내려다 본 그것이 언제나 뇌리에 똬리를 튼 상태다. 

 

한반도 내륙 한복판 경북 김천 출신인 나는 중학교 2학년 때 수학여행을 통해 난생 처음으로 바다라는 데를 구경했으니, 남원과 광주를 통과해 목포에 이르러 바다를 봤다. 


공룡박물관 가는 길목

 

 

이 수학여생 얘기 나온 김에 여담이나 바닷물이 짜다는 말을 하도 많이 들었지만, 그 수학여행 막바지 코스인 해운대해수욕장 모래사장에서야 겨우 진짜로 바닷물이 짠지 아닌지를 직접 손가락에 찍어 맛보고선 확인했다. 1995년인가는 쿠웨이트로 공무로 출장 간 일이 있는데, 그곳 바닷물도 손가락으로 찍어 진짜로 짠물인지 시험하기도 했더랬다. 

 

유달산 앞바다가 어떠했는지는 뚜렷한 기억이 없다. 다만 다도해다! 라는 인상이 깊이 각인했다는 말은 자신 있게 할 수 있다. 그때 그 기억을 되살리고자 근자 부러 유달산을 올라 목포항을 내려다보기는 했다만, 도무지 40년 전 흐릿한 기억과 매치하는 구석은 없었다. 그때는 참말로 황홀했다는 아련한 기억이 있는데, 다시 오른 지금은 그런 것과는 하등 거리가 멀었다.


공룡박물관서 본 바다

 

 

그래서 제 발로 떠나거나 내가 의지로써 떠나보낸 옛 애인은 다시 찾는 법이 아닌가 보다. 술김 빌려 찾았다가 실망하거나 낭패 보기 십상인 까닭이다. 잘 살면 배가 아프고, 못 살면 가슴이 아픈 법이니깐. 

 

고갯길 내리 달려 도달한 해변가 꼬부랑길을 가다 보니 ‘백악기공룡테마파크’ 입구를 왼편으로 끼고 지나 마침내 고성공룡박물관이 떡 하니 나타난다. 테마파크는 이른바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시설이라 생각했음인지 문을 열어 놓은 상태 같았지만, 박물관은 역시나 문을 꽁꽁 걸어잠근 상태였다.


공룡테마파크

 

 

중생대 백악기 공룡이라 해서 코로나바이러스 앞에서는 맥을 못 추긴 마찬가지였다. 저 큰 덩치들이 육안으로는 보이지도 않은 바이러스에 단 한 방에 저리 나가 떨어지다니.

 

그건 그렇고 왜 테마파크에는 굳이 ‘백악기’라는 수식어를 붙였을까? 뭔지 모르게 좀 있어 보인다 해서 굳이 저 말을 넣어 저리 긴 이름을 만들었으리라 짐작해 본다.


공룡박물관

 

 

하긴 뭐 나 같은 지질학 문외한한테도 중생대니, 백악기니, 쥐라기니 하면 괜히 주눅이 드니깐 말이다. 

** previous article ***

https://taeshik-kim.tistory.com/m/entry/%EB%8A%90%EB%8B%B7%EC%97%86%EC%9D%B4-%EB%82%98%EB%A5%B8-%EB%95%85%EB%81%9D%EB%A7%88%EC%9D%84-%EC%A5%AC%EB%9D%BC%EC%8B%9D-%ED%8C%8C%ED%81%AC-4

느닷없이 나른 땅끝마을 쥬라식 파크 (4) 달막동산이 선사한 다도해

박물관을 뒤로하고 애초 계획한 목적지 상족암과 공룡박물관을 향해 내비게이션 안내를 그대로 따라 렌터카를 몰았다. 여담이나 나는 마누라 말은 거역해도 내비는 거역하지 않는다는 신념이 �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