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동풍이 따스히도 불어오네,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

by 버블티짱 2022. 5. 17.
반응형

지금은 그렇지도 않지만, 제법 가까운 옛날만 하더라도 동양화, 아니 한국화의 인기는 대단했다. 국전國展 동양화부 입선만 해도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었다 할 만큼 수요는 넘쳤고 그만큼 작품도 쏟아졌다. 그 수요의 정점에 있었던 몇몇 작가가 있었으니 청전靑田, 남농南農, 그리고 의재毅齋였다.

 

의재 허백련(許百鍊, 1891-1977). 그를 화가로만 아는 이가 많지만 기실 그는 사회운동가라고 해야 맞을지 모른다. 이 나라가 살 길은 농업에 있다 해서 광주농업기술학교를 세우고 무등산 자락에 춘설春雪이란 이름의 차밭을 가꾸었으며, 홍익인간弘益人間의 뜻을 품고 국조國祖 단군을 기리는 사당을 세우고자 노력하기도 했다.

 

젊은 날 공산혁명을 꿈꿨던 지운遲耘 김철수(金綴洙, 1893-1986)와 평생 교분을 나눴던 것도 그런 뜨거운 마음의 발로였을지 모를 일이다.

 

 

그의 작품을 보면 산수와 화조, 기명절지 모두 안온하고 평화롭지만, 어쩐지 쿵쿵 심장이 뛰는 듯 생동하는 느낌이 있다. 매화향기 아득한데 참새 두 마리 지저귀는 이 <동풍취난東風吹暖>도 ㅡ 비슷한 구도의 그림이 더러 있으나 ㅡ 새며 매화가지며 정말 봄바람에 살랑이는 착각이 일지만, 구도는 단단하고 강조되는 부분이 또렷도 하다. 화가의 가슴이 나이들어서도 여전히 뜨거워서였을까.

 

청나라 말의 사상가 양계초(梁啓超, 1873-1929)가 풍류시인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도연명(陶淵明, 365-427)을 가리켜 "도연명은 가슴이 매우 뜨거운 사람이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라고 했다는데, 같은 말을 의재에게도 붙여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단군사당 건립이 늦어지고, 농업학교가 문을 닫게 되자 그 뜨거움이 식어버리고, 그게 의재 화백의 숨을 거두게 한 것이라면 지나친 감상일는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