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Photo News

목은영당牧隱影堂, 목은초상 PORTRAIT OF Lee Saek

by taeshik.kim 2019. 5. 3.
반응형


종로구 수송동 목은영당牧隱影堂 아침이다. 

목은영당은 고려말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PORTRAIT OF Yi SAEK (이색, 李穡) 

Treasure No. 1215


Yi Saek ( or Lee Saek, 1328-1396), whose penname was Mogeun, was a great scholar-official in the closing days of the Goryeo period(918-1392). 


According to a note by Ho Mok (허목許穆), a 17th century scholar there were two portraits of Yi Saek, one in official uniform and the other in everyday clothing, but only the one in uniform has survived. Two portraits are enshrined here. 


The larger one is a full portrait of Yi Sack seated on a chair and wearing a silk official hat, a belt made of water buffalo horn and a reddish outer gown. 


The note in the upper righthand corner was written by Gwon Geun( 권근權近) , a contemporary of Yi Saek, but the portrait is not the original one painted during Yi Saek's time but a copy made in 1711. 


The smaller copy is believed to have been painted in 1654. Yi's overall physique is rendered with powerful brushstrokes while the face is delicately expressed to create a scholarly ambience. 


Although both paintings are copies made at a later date, they are a valuable of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Joseon and Goryeo paintings because they are faithful replicas of Goryeo painting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y are also noteworthy because the subject of the portrait was a historically important person.  




이색 영정(李穡影幀) 

보물 제12153

소재지 : 서울특빌시 종로구 수송농 목은영당


목은 이색(1328-1396)은 본관本官이 한산韓山, 시호는 문정文禎이며, 고려말 대표적 문신이자 학자로서 고려 말 삼은三隱 중의 한 사람이다. 허목許穆의 《미수기언眉叟記言》에 의하면, 이색 영정은 원래 관복 차림과 평상복 차림의 초상화가 있었는데, 현재는 관복본만 전해온다. 관복본을 상대적으로 큰 초상이라 해서 대본大本이라 하고, 평상복 초상이 작아 소본小本이라 한다. 


목은영당 소장 대본大本은 사모紗帽, 무소뿔로 만든 허리띠(서대犀帶), 붉은 빛의 두루마기(비포緋袍) 차림으로 의자에 앉은 전신상全身像인데, 화폭의 오른쪽 위에는 권근權近의 찬문撰文이 적혀 있다. 그러나 이 초상화는 이색 재세시在世時에 그려진 원본은 아니며, 조선 숙종 37년(1711) 다시 그린 것이다. 


소본小本은 효종 5년(1654)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붓의 힘이 골격에서 느껴지고 얼굴은 섬세하게 처리되어 이색의 학자적 인품이 잘 드러나 있다. 이 두 본 모두 이모본移模本이지만, 고려말 초상 형식을 충실히 반영한 조선 회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을 그린 작품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반응형

'NEWS & THESIS > Photo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 Home Sweet Home  (0) 2019.05.10
Adada vs. Ophelia  (0) 2019.05.07
Gyeonghwoiru Pavilion of Gyeongbokgung Palace(慶福宮慶會樓)  (0) 2019.04.26
낙화落花, 조락하는 봄  (0) 2019.04.21
Suwon Hwaseong Fortress  (0) 2019.04.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