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볏잎 구르는 빗방울

by taeshik.kim 2018. 6. 6.
반응형


이맘쯤 비가 내리면 아버지는 삽자루 들고는 갓빠 같은 우의 걸치고 논으로 행차했으니, 물을 보고는 물꼬를 텄고 도랑을 팠으니, 물이 넘쳐 나락을 망칠까 해서였다. 그땐 이렇다 할 의미가 없는 장면이었으나, 갈수록 그 장면이 오버랩한다.(김태식) 


한시, 계절의 노래(62)


저물녘 논밭 사이를 거닐며 두 수(暮行田間二首) 중 첫째 


  송(宋) 양만리(楊萬里) / 김영문 選譯評 


뻐꾸기 울음 속에

해님 발길 거둘 때


지팡이가 나를 불러

서쪽 논둑 가보게 하네


진주 이슬 푸른 벼 잎에

도르르 구르다가


잎 끝까지 가지 않고

머물러 쉬려 하네


布穀聲中日脚收, 瘦藤叫我看西疇. 露珠走上靑秧葉, 不到梢頭便肯休.



뻐꾸기를 중국에서는 ‘布穀(포곡·bugu뿌꾸)’라고 한다. 우리와 같은 소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각수(日脚收)’란 표현이 흥미롭다. 해님도 발이 달려 하루 종일 열심히 달리는데 이제 산 너머로 돌아가야 하므로 발길을 거둔다는 의미다. ‘수(收)’도 중국에서 아직 흔히 쓰는 표현이다. 시골 마을에서 저녁 어스름에 돌아오는 농부를 보고 “收工了?(shou gong le?)”라고 인사한다. “일 마쳤어요?”라는 뜻이다. 둘째 구 묘사도 재미 있다. ‘수등(瘦藤)’은 등나무를 말려서 만들었다. 산신령이 짚는 것처럼 구불구불한 지팡이다. 그 산신령 지팡이가 나를 불러 해지는 서쪽 들녘으로 나가보게 했다고 표현했다. 기실 자신의 들뜬 산보 욕망을 슬쩍 지팡이에 원인을 돌리고 있다. 마지막 두 구절은 어떤가? 비스듬히 비치는 저녁 햇살 속, 푸른 벼 잎에 맺힌 이슬은 떨어질 듯 말 듯 반짝반짝 빛난다. 아름답고 세밀한 표현이다.(김영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