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서봉사지, 모름지기 이승을 하직하고픈 사람들한테 바치는 헌사

by taeshik.kim 2020. 10. 20.
반응형

 

 

 

죽어야겠다는 사람들은 이곳으로 가라

언제부터라고는 기억을 하지 못 하나, 꼭 이맘쯤이면 나는 언제나 서봉사지에 들른다. 째질 만큼 기분이 좋으면 좋아서, 아니면 마음 달랠 일 있으면 그럴 적에 언제나 가 보고 싶은 곳 첫손에 꼽히는 데가 이곳 서봉사지다. 왜 그럴까? 


올해는 여유가 좀 있다 해서 그런지, 아니면 째질 일도 달랠 일도 없는 그저 그런 날이 계속해서인지 그러지는 못했지만, 이맘쯤 서봉사지 중턱에 올라 우두커니 앉아있노라면 그 전면에 병풍처럼 둘러친 앞산 광교산 중턱을 띠처럼 두른 낙엽송 단풍이 그리 아름다울 수 없다. 낙엽송은 단풍나무와는 사뭇 다른 단풍과 그것이 주변 산림과 어우러져 오묘한 색채를 내는데, 내가 화가라면 그에서 무슨 새로운 미술 흐름을 바꿀 만한 단초를 찾지 않았을까 할 정도로 감흥이 깊다. 서봉사지가 어떤 곳인가 묻거든 나는 말한다. 이맘쯤 그 중턱에 올라 낙엽송 단풍을 바라보라고 말이다. 

 

 

 

돌이켜 보면 내가 이쪽과 연을 맺기 시작한 때는 얼추 10년이 넘어 처음 왔을 그때는 주변 풍광도 사뭇 달라, 요새야 그로 향하는 양쪽 계곡이 광풍이라 불러야 할 만치 천지개벽해서 그 이전을 간직하고픈 사람들한테는 실망만 안겨줄지 모르겠지만, 이 또한 서봉사가 안고가야 할 숙명 아니겠는가 싶다. 주변 모두가 변해 가는데 언제까지 유독 서봉사와 그 계곡만 고즈넉으로 남아 달라 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그만큼 주변도 변했고, 무엇보다 서봉사지도 천지개벽했다. 


 

처음 발을 딛던 그때는 그 계곡이 끝나는 지점 카페도 없었다고 기억하고, 그에서 시작하는 계곡 길엔 철망을 쳐 놓았으니, 사유지라 해서 이곳 땅 소유주가 출입조차 막기도 했으니, 그리하여 등산객들이 낸 그 샛길을 이용하기도 했더랬다. 이 문제가 지금은 해결되었는지 내가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계곡 아래서 서봉사지로 통하는 이 계곡일 문제는 여전히 잠복한 상태라는 말을 들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용인시 담당 부서에서는 무던히도 머리를 아파하는 것으로 안다. 이는 결국 서봉사지를 어찌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접근할 적에 그 과정에 쉽지 많은 않다는 복선이 아닌가 한다.



그래도 그 양 옆길 치렁치렁한 칡 이파리가 이제는 숨을 다해가는 이 무렵, 그것들을 손바닥으로 쓰다듬으며 서봉사지로 오르는 길은 그 길은 비록 짧으나, 그것만으로도 극단적은 선택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한테는 다시 살고자 하는 욕망을 부채질하는 그런 숨결이라고 나는 믿는다. 그래서 죽고자 하고, 그래서 모름지기 죽고야 말겠다 하는 사람들한테는 그 대미를 장식할 이승으로 나는 감히 서봉사지를 추천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