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sWho in Ancient Korea

왕화상(王和尙)

by taeshik.kim 2018. 4. 9.
반응형

일통삼한기 밀교 계통 신라 승려 혜통(惠通)의 별명.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동이를 이마에 졌다가 王자 무늬가 새겼으므로 이리 불렀다 한다. 

삼국유사 제5권 신주(神呪) 제6 혜통황룡(惠通降龍) : 중 혜통(惠通)은 그 씨족을 자세히 알 수 없으나 백의(白衣)로 있을 때 그의 집은 남산 서쪽 기슭인 은천동(銀川洞) 어귀(지금의 남간사南澗寺 동리東里)에 있었다. 어느 날 집 동쪽 시내에서 놀다가 수달[獺] 한 마리를 잡아 죽이고 그 뼈를 동산 안에 버렸다. 한데 이튿날 새벽에 그 뼈가 없어졌으므로 핏자국을 따라 찾아가니 뼈는 전에 살던 굴로 되돌아가서 새끼 다섯 마리를 안고 쭈그리고 있다.  혜통이 바라보고 한참이나 놀라고 이상히 여겨 감탄하고 망설이다가, 마침내 속세를 버리고 중이 되어 이름을 혜통으로 바꿨다. 당나라에 가서 무외삼장(無畏三藏)을 뵙고 배우기를 청하니 삼장이 “우이(우夷) 사람이 어떻게 법기(法器)가 될 수 있겠는가” 하고 가르쳐 주지 않았다. 그러나 혜통은 쉽게 물러가지 않고 3년 동안이나 부지런히 섬겼다. 그래도 무외(無畏)가 허락하지 않자 혜통은 이에 분하고 애가 타서 뜰에 서서 불동이를 머리에 이고 있었다. 조금 후에 정수리가 터지는데 소리가 천둥과 같았다. 삼장(三藏)이 이 소리를 듣고 와서 보더니 불동이를 치우고 손가락으로 터진 곳을 만지면서 신주(神呪)를 외니 상처는 이내 아물어서 전과 같이 되었다. 그러나 흉터가 생겨 왕(王)자 무늬와 같으므로 왕화상(王和尙)이라 해서 그의 인품을 깊이 인정하여 인결(印訣)을 전했다.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충(信忠) (1) 신라재상  (0) 2018.04.17
정공(鄭恭)  (0) 2018.04.09
혜통(惠通)  (0) 2018.04.09
인혜(因惠)  (0) 2018.04.09
수천(秀天)  (0) 2018.04.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