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한 맺힌 이의 장서인

by taeshik.kim 2020. 11. 23.
반응형

학부 말이었던가 대학원 초였던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그때는 인사동의 고서점이나 인터넷 경매 등을 기웃거리며 고서를 들여다보곤 했었다. 그야말로 책에서나 보던 고서들을 직접 눈으로 보고 만져도 보고, 운이 좋으면 살 수도 있다는 데 매료되었다. 물론 학생의 주머니 사정이라는 게 뻔해서 제대로 된 걸 살 수는 없었지만, 어쩌다 한 권 두 권을 사서 돌아오면 그렇게 뿌듯할 수가 없었다.



이 중국판 《문선》도 그 시절 인터넷에서 구한 책이다. 사진으로는 지금까지 보던 조선 책과는 어째 다르다 싶어 신기했고 주인이 붙인 가격도 싸서(액수는 잊어버렸다) 구했는데, 들이고 나서 찾아보니 명말 청초의 그 유명한 급고각 판본이었다.

군데군데 찢어지고 낙장도 있어 선본은 아니었지만, 어렸던 나로서는 횡재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표지는 능화무늬가 또렷하여 아마 조선에서 고쳤지 싶은데, 옛 주인이 꽤 아껴 읽은 듯 곱게 세월의 흔적이 내려 있었다.

첫 장을 넘기자마자 큼지막한 장서인이 나타난다. 향로 모양의 '청진', 음각의 '함종', 양각의 '어유호인', 다시 음각의 '양오'다. '청진'은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으나, 이 책의 옛 주인이 함종 어씨였고 그 성명이 '어유호'였음은 알 수 있다.

'양오'는 아마 이 사람의 자일텐데 《맹자》의 "양오호연지기"에서 따왔으리라. 도장의 각법이 18세기 밑으로는 내려오지 않아보인다.

어씨의 '유'자 항렬로 당장 떠오르는 인물은 경종 임금의 장인 어유구(1675-1740)인데, 그의 일족이었을지? 이 정도 도장을 썼던 이라면 제법 부유한 양반이었으려니 하고 지레짐작했다.

그런데 전혀 생각지도 못한 기록에서 '어유호' 이름 석 자를 찾았다. <승정원일기> 영조 즉위년(1724) 12월 19일 기사다.

진사(進士) 정진교(鄭震僑), 생원(生員) 정최령(鄭最寧), 유학(幼學) 이정화(李正華)ㆍ어유호(魚有浩), 진사 이정언(李廷彦), 생원 이집일(李集一), 진사 송수옹(宋秀雍)ㆍ정린(鄭璘), 유학 이만년(李萬年), ...... 등이 상소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 저 군국(軍國)의 기무는 묘당(廟堂)에서 말하고, 백관의 득실은 대각(臺閣)에서 진달하고, 생민(生民)의 질고는 수령과 도백(道伯)이 아뢰고, 사문(斯文)의 시비는 사림(士林)이 변론합니다. 각기 그 직분을 수행하여 크고 작은 일에 빠뜨림이 없는데, 신들이 수백 년 동안 폐고(廢錮)당하여 억울한 사정이 있는데도 신원되지 못하고 있는 일은 바로 곤궁한 사람이 원통함을 품고 있는 첫 번째 일입니다. 그러나 한쪽에 제쳐 놓고 한 번도 성상께 진달해 본 적이 없습니다. 원통함을 품고 한(恨)을 가슴속에 두고 있어도 성상께 알릴 길이 없어 고개를 숙이고 뜻을 억누른 채 그 심정을 글로 썼다가 지우기만 하였을 뿐이니, 천지 사이의 한 죄인일 따름입니다. ...

더구나 이 서얼을 폐고하는 법은 천하 만고에 없던 바인데, 낡은 인습이 지금까지 지속되어 허다한 인재들로 하여금 죄수처럼 머리도 빗지 않고 문 옆의 작은 출입구나 사립문 안에서 늙어 죽게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혹 생전에 그 심정을 다 아뢰지 못한다면, 화기(和氣)를 손상시키는 것이 어찌 다만 필부필부가 원통함을 품는 데 그치겠습니까. ... "라 하였다.


영조가 즉위하자마자 상소를 올려 자신들의 억울한 처지를 아뢰었던 서얼들, 그 중 어유호가 있었다. 그 순서가 앞에서 네번째였으니 서얼들 중에서도 명망이 상당히 높았던 모양이다. 이때 영조는 서얼들의 요청에 근거가 있으나, 신중히 처리하겠다고 비답한다.

그 뒤는 우리가 아는 바와 같다. 서얼된 한을 품고 살았을 어유호, 그는 청나라에서 들어온 《문선》을 읽으며 무엇을 생각했을까. 서자에 대한 차별이 없다는 중국을 꿈꾸었을까, 책 속의 옛 사람과 벗하며 오늘의 현실을 잠깐이나마 잊었을까. 사람은 가고 책만 남았다.

*** 이상은 국립중앙박물관 강민경 선생 글이다.

 

내[台植]가 붙인다. 

 

서얼 차별이 사회문제라는 건 조선시대 지식인도 어느 정도는 실감했다. 더는 못 참겠다 해서 서얼들이 들고 일어난 시점이 영조 즉위 직후라는 점이 허심히 볼 수는 없다.  이는 자칫 역린을 건드릴 수 있는 문제였으니, 다름 아니라 영조가 서얼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전 조선 역대 왕 중에 서얼은 아마 영조가 최초가 아닌가 한다.  선조가 특이 케이스이긴 하나, 아마 서얼은 아니었다고 기억한다.  서얼 출신 영조는 우리 맘을 알아주리라 했으리라.  그건 그거고, 이 판본 개떡같기 그지 없어, 야메로 찍어낸 것이 분명하다.  저걸로 공부를 했다니 내 맘이 쓰리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