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S & MISCELLANIES

전통 목조건축물에서 과감히 버려도 되는 것들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3. 27. 23:00
반응형

 
급하면 목조건축물도 일단 해체해야 한다는 말에 이쪽 분야 종사자들이 여러 문제, 안전을 포함해, 그런 것들을 내세우며 난색을 표했거니와

나도 이 짓거리 30년인데 그런 것쯤 모르겠는가?

이런 건 시간 싸움이다. 

지금 한창 문제가 되는 병산서원 몇 년 전에도 난리통 피워댔다.

진짜 그때 나는 날아가는 줄 알았다. 

이번은 어찌 될지 모르지만 우린 때마다 앞으로 이런 일 또 겪어야 한다. 

이럴 때를 대비해야지 않겠는가?

진짜로 특단하는 현장 보존대책 마련해야겠지만 지금 국가유산청 하는 꼴을 보면, 또 그에 부화뇌동하는 전문가집단, 예컨대 문화재위원회 위원들 하는 꼴 보면 백골난망이다. 

그래 얘기 길어진다.

본론으로 들어가자. 

급하면 해체해야 한다. 

예서 문제는 화급을 다투는 데가 지붕과 기와다. 

기와? 웃기는 소리들 좀 그만해라.

기와는 때마다 바꾸는 소모품이다. 

다시 말해 버려도 되고 버려서 하등 이상한 것이 없다.

그냥 뜯어서 아래로 던져버리면 그만이다. 

다음 그 아래 적심. 

이 적심도 마찬가지라 버려도 되고 버려서 하나도 아까울 거 없다.

이 역시 뜯어서 던져버리면 그만이다. 

나중에 기와랑 적심은 청소만 하면 된다. 

이제 뭐가 남는가?

서까래랑 기둥만 남는다. 

기초?

기초까지 왜 손봐? 그냥 놔둬도 상관없다.

황룡사 불탄 자리 보니 그 큰 목탑 불타도 그냥 그대로 남았다. 

남는 건 딱 두 가지다.

서까래 들보 등등 지붕 부재랑 기둥. 이것만 남는다. 

서까래? 성한 거 있어? 다 갈아찡군 신부재잖아?

그럼 과감히 버려!

뜯어 던져버려!

기초를 지키고 기둥 들보만 지키면 된다. 

문제는 이 기둥 들보 중에서도 신부재가 많다. 

근자 하도 손을 대놔서 버려도 되는 것들 천지다. 

그것이 아깝다고 하면 지키는 것이고 버려도 된다면 버리고 신부재 갈아 찡구면 된다. 

그래 내가 너무 단순화한 거 안다. 

하지만 급하면 뭔 짓인을 못할손이며, 그 뭔짓인들 해야 한다! 

일본에서 가장 유서 깊은 종묘 이세신궁.

20년인가 25년마다 쏵 갈아치운다. 
왜? 

그래야 안전이 담보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토의정서가 나온 것이다. 

기와? 기와에 대한 환상 깨라! 

기와란 본래 그런 것이다. 

때마다 갈아 칭구는 소모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