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농민 약올리는 민농시憫農詩

초야잠필 2024. 10. 5. 14:48
반응형

 
사대부쯤 되면

민농시 하나쯤은 남겨야 했는지

왠만한 선비들 치고 민농시 하나 남기지 않은 사람들이 없고

혹자는 이를 장편 서사시로 써서 이에 대한 연구서까지 있는 줄 안다. 

민농시-. 

나보다 못한 자에 대한 연민-. 

다 좋다 그런데-. 

國之語音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故愚民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잘 알려진 훈민정음 서문이다. 

여기까지는 딱 민농시다. 

뭐 말하려고 해도 글자를 알아야 쓰지?

정말 불쌍한 놈들이겠다. 

문제는 다음이다. 

予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그래서 새로 글자 28개를 만든다고 하지 않나. 

불쌍하다고 하면 뭘 하나. 

그 다음이 중요한 것 아니겠나. 

농민들이 불쌍하니까 그 다음에는 어떻게 하라고? 

내가 본 민농시 중에 여기에 답 달아 놓은 민농시는 한 번도 못 본 것 같다. 

구중궁궐 임금님이 귀를 닫고 있다는 소리는 해도 

그 밥 굶는 농민이 자기 때문에 굶고 있는지도 모른다. 

농민들이 저렇게 굶는데 정말 불쌍하네

저게 혹시 나 때문은 아닌가

이렇게 이야기하는 민농시 봤는가? 

조선시대 민농시는 대부분 그래서 사기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