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야잠필 2024. 5. 23. 09:34
반응형

최근 나오는 이야기의 하나가, 

도작과 잡곡 농경의 기원을 분리하여 보는 것이다. 

잡곡 농경은 도작이 본격화하기 전 
족보도 없는 원시 농경이 아니라

두 가지 농경이 완전히 별개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농경의 흐름이 한반도 어딘가 (아마도 서북부-중부)에서 결합되어

도작과 잡곡이 혼작되는 혼합농경의 형태로 남하하다가 

한반도 남부 어딘가에서 다시 도작의 밀도가 더욱 높아지고 

이 흐름이 그대로 일본으로 이어져 야요이시대로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잡곡 농경의 기원을 소급하여 따라 올라가면

부여-고구려에 요하 지역의 신석기시대 농경까지 올라간다는 것이고, 

도작은 이와는 달리 산동반도-요동반도를 거쳐 유입되었으므로 양자는 한반도 서북부 언간에서 만나 

한반도 혼합 농경으로 완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작과 잡곡이 한꺼번에 밀어닥친 일본과 달리, 

한반도는 도작과 잡곡이 각각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경로로 유입되어 

양자간에는 도입과 발전의 시간 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

마치 한반도에는 청동기와 철기의 도입시기에 차이가 생겨 청동기시대가 존재하지만 

열도에는 금속기가 한꺼번에 들이닥치는 것과 같은 현상 아니었을까. 

다시 한번 써 보지만, 

잡곡을 도작의 보조적 수단으로 보는 개념은 

두 가지 농사가 같은 시기에 대륙으로부터 밀어 닥친 일본에서나 타당한 시각으로 

한반도는 이와 다른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당장 한반도 북부지역만 올라가도
도작을 주로 하고 잡곡을 종으로 하는 방식의 농경은 최근세까지도 성립된 바 없다. 

이러한 방식의 농경은 보다 도작에 적합한 한반도 남부 해안일대에서나 가능하였을 것이라 보는 것이 
필자의 시각이다. 

야요이 초기의 이주 정착촌을 보면 일본에서는 예외없이 

밭보다는 논이 주변에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데 

이렇게 논이 밭을 압도하는 모양은 논농사의 원 도래지인 한반도 전역에서도 매우 드물었을 것으로 

이는 아열대 식물인 벼농사에 보다 적합한 기후를 가진 일본의 환경에서 가능하였을 것이라 보는 것이다. 


*** previous article ***


한국인이 아니라 왜인이 한반도에서 열도로 건너왔다는 이유


한반도 잡곡과 도작 농경은 기원이나 도입시기가 서로 다른 별개의 존재라는 것이 지금의 시각이다. 한반도에서 양자가 결합하여 남하한 후에는 남부 일대에서 도작을 주로 하고 잡곡을 보조적으로 하는 형태의 농사가 완성되고 이 흐름이 일본으로 건너간 다음에는 도작이 보다 강화된 형태로 발전해가지 않았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