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왕퇴, 戰國미라, 그리고 楚-漢의 시대: 프롤로그
일단 이 사이트에 이전 써둔 글들이 있어 먼저 그 내용을 링크해 둔다.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은 여기부터 시작해야 할 듯 싶다.
위부터 아래까지 연속된 연재물이었다.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1)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필자가 조선시대 미라로 초창기 논문을 낼 때마다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도대체 왜 미라가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이었다. 조선시대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2)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우리나라 미라의 경우 다른 나라 미라와 구별되는 특이한 점은 인공적인 방부처리에 의해 만들어진 미라가 아닌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3)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각설하고. 여기서 오페르트의 이야기를 좀 더 보자. 오페르트의 도굴은 사실 자기들끼리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고 그 과정에서 조선인 천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4)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필자 주] 오늘 글에 있는 회곽묘 명칭에 관련해서는 사실 정리가 좀 필요한 상황인데 일단은 회곽묘로 통일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추후에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5)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사실 주자가 회곽묘를 창안하지는 않았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주자가 살아있을 당시 이미 그가 살던 중국 강남 땅에는 회곽묘라는 것이 만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6)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필자의 변] 필자가 김샘 블로그에 우리 연구실 이야기를 연재하기로 생각한 후부터 왠만하면 화-금요일의 연재 주기를 지키려 했지만 이번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7)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서 우리는 중국에서는 곤충, 나무뿌리나 도굴꾼 침범을 막고자 주자朱子가 실용적인 목적으로 채택한 요장묘가 주자가례朱子家禮 형태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8)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불교식 상장례를 타파하고 주자가 정리한 주자가례를 조선의 공식적인 매장 방식으로 채택했다고는 하지만 조선 바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9)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우리나라 조선시대 회곽묘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모두 동의하는 부분의 하나는 회곽묘 구조가 처음 조선 땅에 출현했을 때와 나중 시간
historylibrary.net
주자가례의 비극: 왜 우리 조상들은 미라가 되었나 (10): 에필로그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약속한 대로 조선시대 회곽묘 관련 선행 연구를 소개한다. 아래 연구에 필자의 글은 많은 영향을 받았다. 먼저 조선초기 상장의례의 변천
historylibrary.net
정리하면서 보니 이 글을 포스팅한지가 벌써 4년이 다 되어간다.
세월이 참 빠르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