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
몰락양반과 가짜양반
신동훈 識
2025. 8. 18. 09:00
반응형
19세기 조선사회.
마을마다 유학을 칭하는 양반호가 압도적인 숫자가 되어 있었고
이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몰락양반"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몰락양반"이 그렇게 흔했을까?
조선시대에 가지고 있던 재산 관리를 못하고
벼슬도 떨어져 양반이었던 사람들이 양반이 아닌 처지로 굴러 떨어진 상황이 꽤 많았을 듯하지만,
호적을 보면, 그렇지 않다.
양반 자손들은 아무리 살림이 어렵고
벼슬을 하지 못해 부, 조부, 증조부 직역이 학생이 되어 있어도
여전히 호적상에서는 양반호로 잡혀 있었다.
몰락양반이란 것이 우리 생각처럼 그렇게 간단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오히려-.
조선의 19세기에 늘어났다는 소위 "잔반"
혹은 "몰락양반"이란,
원래 양반이 아니었던 사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몰락양반"이라 주장하는 사람 상당수는 원래 양반이 아니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생각하지 않으면, 18세기 초반까지도 동네마다 절반 가까이 되던 노비들이
19세기가 되면 갈 곳이 없어진다.
이들이 "몰락양반"으로 바뀌어 있어야 비로소 상황이 설명된다는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