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부여-고구려 문명의 농업 구조
초야잠필
2024. 6. 8. 18:40
반응형
이렇게 보면,
요하유역과 남만주 일대의 농업에 기반한
부여-고구려 문명의 농업사회 구조는
그 작물은 조, 기장, 수수를 중심한 millet farming에 단백질원-지력 강화 수단으로서 콩 농사.
그리고
사육동물로는 신석기 시대 이래의 개, 돼지, 말, 소 등 다양한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상태였을 가능성이 높다.
쌀농사는-.
요동 남부 해안 지역에서 대동강 유역을 잇는 지역 바깥에는 없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고구려가 대동강 유역으로 내려오기 전에는
위와 같은 농작물과 가축사육으로 구성된
농업사회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부여-고구려 농업사회의 구조는 한반도 남부와는 어떻게 다를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