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미라-6] 관련 논저 목록: 서울의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아래는 우리 연구실에서 2002년 이후 수행한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논저 목록이다.
필자는 2002년에 처음으로 조선시대 미라를 접한 이래 2006년부터 다른 일 다 접고 본격적으로 이 일에 뛰어들었는데 그 후 13년 정도 되는 시간 동안 논문과 단행본 합쳐 60편 조금 못되는 보고를 한것 같다. 우리 연구실 전체 연구업적의 1/3을 차지 할 정도의 양인데 조선시대 미라 단일 주제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분야 연구의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짐작할 수 있다.
10여 년의 세월 동안 세상도 많이 바뀌고 조선시대 미라의 학계 위상도 많이 올라가서 필자가 이 연구를 시작할 때만 해도 해외 관련 연구자들은 "조선왕국"이라는 나라의 이름도 그 역사도 잘 모르는 수준이었지만 (이 때문에 논문 투고때 마다 조선왕국에 대한 설명부터 달아야 했다. 의학계열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 했음에도..) 2019년 현재 적어도 이쪽 연구를 하는 사람들 중에서 조선시대 미라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것이라고 짐작해 본다.
앞선 연재에서 조선시대 미라의 학술적 가치에 대해서 기술한 바 있다. 흔히 조선시대 미라 이야기는 언론에서 아무래도 깊이있게 다루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대중은 이 연구를 흥미 거리로 인식하기 마련인데 이 분야 연구의 깊이와 폭은 아래 목록에서 보듯이 그렇게 만만치는 않다. 미라연구로 획득한 구체적인 과학적 정보는 앞으로의 연재에서 자세히 다루게 되겠지만 조선시대 미라의 학술적 가치에 대해서는 그 동안의 연구로 충분히 입증 되었다고 본다. 조선시대 미라를 연구 후에 보존해야 하는가 매장해야 하는가 하는 논의와는 별개로 미라 자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이 논저 목록을 통해 설득력 있게 받아 들여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필자가 최근들어 부쩍 생각하는 것은 조선시대 미라 조사기법이 이제는 많이 정비되어 그 간 미지의 영역이던 문제의 상당수가 규명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연구실도 이 연구를 서서히 마무리 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고 느낀다. 순탄하게 연구가 진행 할 수 있는 단계가 되니 이렇게 짐을 꾸려 어디론가 다시 떠나려 하는가 생각 할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미 확립된 기법을 가지고 새로운 발견 없이 반복적으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은 대학 본연의 업무가 아니라고 본다 (이제는 좀 더 일상적인 조선시대 미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고고학계 내부에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 본연의 사명은 지도없이 나침반만 가지고 대양으로 나가는 것이다. 잘 그려진 지도와 나침반을 가지고 하는 항해라면 대학은 필요 없다. 초수평선 (over the horizon)의 영역에 미지의 섬이 존재할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별자리에 의지하여 태평양을 건너는 인류의 모습이야말로 대학의 이상적 모습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그런거 해봐야 밥이 생겨 술이 생겨"라고 폄하하는 사회는 발전이 없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이란 탐사선이 되어야지 여객기가 되어서는 안된다.
각설하고 조선시대 미라 연구에 대한 그 동안의 성과를 한번은 제대로 정리하여 매듭을 지어야한다 생각은 계속 해왔다.
하지만 일이 바쁘다는 핑계로 이루지 못하다 마침 김태식 기자의 블로그 한 켠을 빌어 간략히 논저 목록을 남기고 이에 얽힌 이야기를 앞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김 기자는 내가 이 연구를 수행하던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옆에서 묵묵히 지켜 보던 양반이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이 연구에 대한 이해에 감사의 뜻을 표하고자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이양수 선생 제공
지금까지 대부분의 보고가 영어로 이루어져 정작 국내에는 그 연구 내용이 잘 알려지지 못한 까닭에 그 동안 연구실이 축적한 조선시대 미라 연구에 대한 노하우와 정보가 우리 학계에서 그대로 사장 될지도 모른다는 고민이 항상 필자에게 있었다. 이것이 어떤면에서는 사적인 정보라고 할 수도 있는 연구실 논저 목록을 업로드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마어마한 연구를 하는 연구실이 밤하늘의 별처럼 많은 시대에 별 것 아니라면 아니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조선시대 미라 연구 자체가 우리 사회에서 생소 했던 시기에 아래 논문 한 편 한 편은 연구실 식구들의 헌신적 노력 없이는 불가능 했던 결과물이라는 점을 말 하고 싶다. 부디 우리 연구가 미흡하나마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조선시대 미라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작은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아래 논문 목록은 최근 것부터 역순으로 정리하였고 간단한 내용 설명을 붙였다. 중요한 논문 위주로 정리 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떨어지는 논문들은 우리 연구실 것이라도 목록에서 제외 시켰고 다른 연구실 업적은 또한 전혀 포함되지 않았으니 이 목록에 조선시대 미라에 관련된 모든 논문이 포함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시길 바란다.
<논문>
E2018-1. Shin DH, Oh CS, Hong JH, Lee H, Lee SD, Lee E. Helicobacter pylori DNA obtained from the stomach specimens of two 17th century Korean mummies. Anthropol Anz. 2018 Feb 1;75(1):75-87. 조선시대 미라에서 헬리코박터 DNA를 검출.
E2018-2. Oh CS, Kang IU, Hong JH, Park JB and Shin DH. An Experiment Assessment of the Cause of Mummification in Joseon Period Burials, Republic of Korea. Archaeology, Ethnology & Anthropology of Eurasia. 2018. 46(1) 117-122. 조선시대 미라가 형성되는 기전을 밝히기 위한 동물실험. 회곽묘가 형성될때 고열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미라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E2018-8. Oh CS, Shin DH, Hong JH, and Lee 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es on ABCC11, EDAR, FGFR2 and ABO Genotypes of Mummified People of Joseon Dynasty, South Korea. Anthropological Science. 126(2): 67-73.: 미라 유전체분석 기법 개발.
E2018-14. Shin DH, Bianucci R, Fujita H, Hong JH. Mummifications in Korea and China: Mawangdui, Song, Ming and Joseon Dynasty mummies. [Review]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8: 6215025.: 조선시대 미라와 중국 미라의 비교. 종설 논문으로서 마왕퇴 등 한대 미라와의 비교가 주로 서술 되었다.
E2018-16. Kim Y-S, Oh CS, Kim MJ, Hong JH, and Shin DH. Anatomical Confirmation of the Joseon Mummy's Hearts Visible 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The Radiological Basis of Paleo-Cardiology. Anthropologischer Anzeiger: 미라 방사선 영상을 통해 본 심장의 구조.
E2017-1. Seo M, Oh CS, Hong JH, Chai J-Y, Cha SC, Bang Y, Cha IG, Wi YG, Park JM and Shin DH. Estimation of Parasite Infection Prevalence of Joseon People by Paleoparasitological Data Updates from the Coprolites of Pre-modern Korean Mummies. 2017. Anthropological Science 125 (1): 9-14. 미라에 대한 분석결과로 조선시대 기생충 감염률을 산정하였다.
E2017-5. Dong Hoon Shin, Yi-Suk Kim, Dong Soo Yoo, Myeung Ju Kim, Chang Seok Oh, Jong Ha Hong, Eunju Lee, Jong Yil Chai, Min Seo. A case of ectopic paragonimiasis in a 17th century Korean mummy. 2017. Journal of Parasitology. 103(4): 399-403. 17세기 조선시대 미라에서 폐흡충 검출 보고. 조선시대 미라 간낭종을 부검해 보니 폐흡충란이 발견되었다.
E2017-7. Hong JH, Oh CS, Seo M, Chai JY and Shin DH. Ascaris ancient DNA sequences of cytochrome B,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NADH dehydrogenase subunit 1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genes from Joseon mummy feces of Korea. 2017. Journal of Parasitology. 103(6): 795-800. 조선시대 미라 변에서 검출한 회충 DNA분석 (속보). 옛 기생충 DNA 연구는 매우 희귀하여 새로운 조선시대 미라 분변 실험이 성공하여 추가 정보가 얻어지면 속보로 계속 학계 보고되었다.
E2017-9. Dong Hoon Shin, Chang Seok Oh, Jong Ha Hong, Yusu Kim, Soong Deok Lee, Eunju Lee. Paleogenetic Study on the 17th Century Korean Mummy with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2017. PLOS ONE 12(8): e0183098. 미라에서 유전학적 기법으로 죽상경화증 확인. 처음 보고되었던 미라 케이스를 이번에는 DN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E2016-3. Kim Y-S, Lee IS, Oh CS, Kim MJ, Cha SC and Shin DH. Calcified Pulmonary Nodules Identified in 350-Year-Old-Joseon Mummy: the First Report on Ancient Pulmonary Tuberculosis from Archaeologically Obtained Pre-modern Korean Samples. 2016.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1(1): 147-151. 조선시대 미라에서 결핵의 흔적 발견. 이는 미라에서 발견된 것으로는 한국에서 최초이다.
E2015-1. Oh CS, Koh B-J, Yoo DS, Park JB, Min SR, Kim Y-S, Lee SS, Ge J, Seo SB and Shin DH. Joseon Funerary Texts Tested Using Ancient DNA Analysis of a Korean Mummy. 2015. Anatomical Record. 298: 1191-1207.: 유전자 분석을 이용한 조선시대 미라 신원 분석
E2015-2. Arguelles P, Reinhard K, and Shin DH. Forensic Palynological Analysis of Intestinal Contents of a Korean Mummy. 2015. Anatomical Record 298: 1182-1190.: 조선시대 분변에서 꽃가루 분석.
E2015-5. Kim MJ, Kim Y-S, Oh CS, Go J-H, Lee IS, Park W-K, Cho S-M, Kim S-K, Shin DH. Anatomical Confirmation of Computed Tomography-Based Diagnosis of the Atherosclerosis Discovered in 17th Century Korean Mummy. 2015. PLOS ONE 10(3): e0119474. : 조선시대 미라에서 죽상경화증을 방사선영상으로 확인. 이 케이스는 추후 DNA로 한번 더 분석된다 (2017년).
국립중앙박물관 이양수 선생 제공
E2014-3. Song MK and Shin DH. Joseon mummies identified before bioanthropological studies began in Korea. Papers on Anthropology XXIII/1, 2014, pp. 117–134. 우리나라에서 미라 연구가 본격화하지 않았던 1960-2000 까지 조선시대 회곽묘/미라 발굴 정리
E2014-4. Min Seo, Adauto Araujo, Karl Reinhard, Jong Yil Chae and Dong Hoon Shin. Paleoparasitological studies on Mummies of the Joseon Dynasty, Korea. [Review]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Vol. 52, No. 3: 235-242, June 2014 최근 7년간 미라 기생충학 연구의 정리
E2014-5. Won Joon Lee, A Young Yoon, Mi Kyung Song, Caroline M. Wilkinson, and Dong Hoon Shin. The archaeological contribution of forensic craniofacial reconstruction to a portrait drawing of a Korean historical figur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9 (2014) 228-236. 미라에서 얼굴복원 기법의 정립
E2014-6. Yi-Suk Kim, In Sun Lee, Go-Un Jung; Chang Seok Oh, Dong Su Yoo, Won Joon Lee, Eunju Lee, Soon Chul Cha, Dong Hoon Shin. Radiological Diagnosis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in 17th century Korean Mummy. PLoS ONE 9(7): e99779. doi:10.1371/journal.pone.0099779 17세기 미라에서 선천성 횡경막 헤르니아 발견
E2014-7. Israel Hershkovitz, Mark Spigelman, Do-Sun Lim, In Sun Lee, Chang Seok Oh, Hila May, Elisabetta Boaretto, Yi-Suk Kim, Soong Deok Lee, Natan Peled, Myeung Ju Kim, Talya Toledano, Gila Kahila Bar-Gal and Dong Hoon Shin. A possible case of Cherubism in a 17th-century Korean female mummy. PLOS ONE 9(8):e102441. doi:10.1371/journal.pone.0102441 17세기 미라에서 가족섬유형성이상증 발견.
E2014-8. Oh CS and Shin DH. Making Animal Model for Korean Mummy Studies. Anthrop Anz. Anthropol. Anz. 71/4 (2014), pp. 469–488. 미라 연구를 위한 동물 모델의 확립. 실험동물 사체를 이용하여 조선시대 미라를 회곽묘 모형에서 그대로 재현하였다.
E2013-1. Oh CS, Lee SJ, Lee SD, Kim MJ, Kim Y-S, Lim D-S, and Shin DH. Amplification of DNA remnants in mummified human brains from medieval Joseon tombs of Korea. Anthrop Anz Volume 70 No. 1 (2013), p. 57 - 81. 미라 뇌에서 DNA 추출 및 분석. 미라 뇌가 유전학적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 논문이다.
E2013-2. Shin DH, Oh CS, Lee HJ, Chai JY, Lee SJ, Hong D-W, Lee SD, Seo M. Ancient DNA analysis on Clonorchis sinensis eggs remained in samples from medieval Korean mumm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0 (2013) 211-216. 간흡충 DNA 분석. 세계에서 2번째.
E2013-4. Lee E-J, Oh CS, Yim SG, Park JB, Kim Y-S, Shin MH, Lee SD, Shin DH. Collaboration of archaeologists, historians and bioarchaeologists during removal of clothing from Korean mummy of Joseon dynasty. International Journal of Historical Archaeology March 2013, Volume 17, Issue 1, pp 94-118.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자가 학제간 협동으로 조선시대 미라 연구를 어떻게 진행하는가 그 과정을 소개.
E2012-2. Kahila Bar-Gal G, Kim MJ, Klein A, Shin DH, Oh CS, Kim JW, Kim TH, Kim SB, Grant PR, Pappo O, Spigelman M, Shouval D. Tracing hepatitis B virus to the 16th century in a Korean mummy. Hepatology. 2012 Nov;56(5):1671-80. 세계최초로 조선시대 미라에서 간염 바이러스 DNA분석 보고
E2012-3. Shin DH, Oh CS, Chai JY, Ji MJ, Lee HJ, Seo M. Sixteenth Century Gymnophalodes seoi Infection on the Coast of the Korean Penninsula. J Parasitol. 2012 Dec;98(6):1283-6. doi: 10.1645/GE-2920.1. Epub 2012 Apr 23. 미라에서 참굴큰입흡충 발견 보고 (제 2 보). 참굴큰흡충은 1990년대에나 학계에 보고된 연구사가 매우 짧은 기생충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 되었고 지금도 한반도 서남해안에서 발견된다. 이 논문은 시대변천에 따라 기생충의 지역적 분포도 달라질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소중한 보고이다.
E2012-4. Shin DH, Oh CS, Lee SJ, Lee E-J, Yim SG, Kim MJ, Kim Y-S, Lee SD, Lee YS, Seo M. Ectopic paragonimiasis from 400 year old female mummy of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Volume 39, Issue 4, April 2012, Pages 1103–1110. 400년전 미라에서 폐흡충을 발견하고 그 DNA를 분석. 폐흡충 고DNA로는 세계 최초의 보고.
E2011-2. Shin DH, Oh CS, Chai J-Y, Lee H-J and Seo M. Enterobius vermicularis Eggs Discovered in Coprolites from a Medieval Korean Mummy.Korean J Parasitol Vol. 49, No. 3: 323-326, September 2011. 조선시대 미라 분변에서 요충란 발견
E2011-5. Oh CS, Lee SY, Lee IS, Kim Y-S, Koh KS and Shin DH. Differential findings in post-factum dissections of medieval Korean mummies which exhibited similar preservation patterns on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Annals of Anatomy 2011 Dec 20;193(6):544-9.: 미라 방사선 소견과 부검 소견의 비교 (제 2 보). 숙달된 방사선과 의사라고 해서 미라 방사선 사진을 바로 판독 가능한것이 아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미라 내부 장기 위치와 영상소견이 정상인과 크게 달라지기 때문. 따라서 미라 방사선 사진을 실제 부검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이 많이 필요하다.
E2010-1. Kim DK, Lee IS, Kim W-L, Lee JS, Koh BJ, Kim MJ, Youn MY, Shin MH, Kim YS, Lee S-S, Oh CS and Shin DH. Possible Rheumatoid Arthritis Found in the Human Skeleton Collected from the Tomb of Joseon Dynasty, Korea, Dating Back to the 1700s AD.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21 (2011): 136-149.: 미라에서 류마티스관절염 발견
E2010-2. Lim D-S, Oh CS, Lee SJ and Shin DH. 2010. Auto-fluorescence emitted from the cell residues preserved in human tissues of medieval Korean mummies. J Anatomy. 217 (1) 67-75.: 미라 조직에서 자가형광현상이 있음을 확인
E2010-4. Oh CS, Seo M, Chai JY, Lee SJ, Kim MJ, Park JB and Shin DH. 2010.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Trichuris trichiura ancient DNA extracted from archaeological sediment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7 (6): 1269-1273. 미라 편충 DNA 분석 보고.
E2010-5. Oh CS, Seo M, Lim NJ, Lee SJ, Lee EJ, Lee SD, Shin DH. 2010. Paleoparasitological report on Ascaris aDNA from an ancient East Asian sample. Mem Inst Oswaldo Cruz. 105 (2): 225-228.: 미라 회충 DNA 분석 보고 (제 1 보)
E2010-7. Shin DH, Lee IS, Kim MJ, Oh CS, Park JB, Bok GD, Yoo DS. 2010. Magnetic resonance imaging performed on a hydrated mummy of medieval Korea. J Anat. 216 (3): 329-34. 미라 자기공명영상 검사. 세계에서 2번째.
E2010-8. Seo M, Oh CS, Chai JY, Lee SJ, Park JB, Lee BH, Park JH, Cho GH, Hong DW, Park HU, Shin DH. 2010. The influence of differential burial preservation on the recovery of parasite eggs in soil samples from Korean medieval tombs. J Parasitol. 96 (2): 366-370. 고고학 발굴현장의 다양한 조건 하에서 기생충란이 보존 되는데 유물이나 시신이 잘 보존 될 수록 좋은 상태의 옛 기생충란이 발견 됨을 증명.
E2009-1. Lee IS, Lee EJ, Park JB, Baek SH, Oh CS, Lee SD, Kim YS, Bok GD, Hong JW, Lim DS, Shin MH, Seo M, Shin DH. 2009. Acute traumatic death of a 17th century general based on examination of mummified remains found in Korea. Ann Anat.Jun;191(3):309-20. Epub 2009 Mar 11. 강릉 최경선 선생 미라 연구. 광해군 때 돌아가신 강릉최씨 집안 어른.
E2009-2. Shin DH, Lim DS, Choi KJ, Oh CS, Kim MJ, Lee IS, Kim SB, Shin JE, Bok GD, Chai JY, Seo M. 2009.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of ancient parasite eggs recovered from Korean mummies of the Joseon Dynasty. J Parasitol. Feb;95(1):137-45. 미라 기생충란을 전자현미경으로 검사.
E2009-3. Shin DH, Chai JY, Park EA, Lee W, Lee H, Lee JS, Choi YM, Koh BJ, Park JB, Oh CS, Bok GD, Kim WL, Lee E, Lee EJ, Seo M. 2009. Finding ancient parasite larvae in a sample from a male living in late 17th century Korea. J Parasitol. Jun;95(3):768-71. 미라 분변에서 기생충 유충 발견
E2009-4. E-J Lee, Shin DH, Yang HY, Spigelman M, Yim SG. 2009. Eung Tae’s tomb: a Joseon ancestor and the letters of those that loved him. Antiquity 83(319):145–156. 안동 원이 엄마 이야기. 이 논문에 그 자세한 이야기가 서술되었다.
E2008-3. Chang BS, Uhm CS, Park CH, Kim HK, Jung HS, Ham JH, Lee GY, Kim DH, Lee KJ, Bang IS, Oh CS, Shin DH. 2008. Ultramicroscopic investigation of the preservation status of hair collected from a full-term, intrauterine baby mummy of the Joseon Dynasty,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18(6):624–631 미라 머리카락에 대한 전자현미경 (속보)
E2008-4. Kim MJ, Oh CS, Lee IS, Lee BH, Choi JH, Lim D-S, Yi YS, Han W-J, Kim Y-S, Bok GD, Lee SD, Shin DH. 2008. Human mummified brain from a medieval tomb with lime-soil mixture barrier of the Joseon Dynasty,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18(6):614–623 미라 뇌조직에 대한 육안해부 및 조직학적 연구
E2008-5. Lim DS, Lee IS, Choi KJ, Lee SD, Oh CS, Kim YS, Bok GD, Kim MJ, Yi YS, Lee EJ, Shin DH. 2008. The potential for non-invasive study of mummies: validation of the use of computerized tomography by post factum dissection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of a 17th century female Korean mummy. J Anat. Oct;213(4):482-95. 미라 방사선 및 부검 연구의 비교 (제 1 보)
E2007-3. Seo M, Guk SM, Kim J, Chai JY, Bok GD, Park SS, Oh CS, Kim MJ, Yil YS, Shin MH, Kang IU, Shin DH. 2007. Paleoparasitological report on the stool from a Medieval child mummy in Yangju, Korea. J Parasitol. Jun;93(3):589-92.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 시행된 최초의 기생충학적 연구. 양주 소년미라에 대해 시행되었다.
E2007-6. Lee IS, Kim MJ, Yoo DS, Lee YS, Park SS, Bok GD, Han SH, Chung YH, Chang BS, Yi YS, Oh CS, Shin DH. 2007.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medieval child mummy in Yangju, Korea,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n Anat. 189(6):558-68. 미라 방사선 영상의 3차원 재구성
E2006-6. Chang BS, Uhm CS, Park CH, Kim HK, Lee GY, Cho HH, Kim MJ, Chung YH, Song KW, Lim do S, Shin DH. 2006. Preserved skin structure of a recently found fifteenth-century mummy in Daejeon, Korea. J Anat. Nov;209(5):671-80. 대전 학봉미라 연구
E2006-7. Kim SB, Shin JE, Park SS, Bok GD, Chang YP, Kim J, Chung YH, Yi YS, Shin MH, Chang BS, Shin DH, Kim MJ. 2006. Endoscopic investigation of the internal organs of a 15th-century child mummy from Yangju, Korea. J Anat. Nov;209(5):681-8.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내시경적 검사
E2003-3. Shin DH, Youn M, Chang BS. Histological analysis on the medieval mummy in Korea.Forensic Sci Int. 2003 Nov 26;137(2-3):172-82.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 논문으로 보고된 최초의 조직학적 연구
E2003-6. Shin DH, Choi YH, Shin KJ, Han GR, Youn M, Kim CY, Han SH, Seo JC, Park SS, Cho YJ, Chang BS. Radiological analysis on a mummy from a medieval tomb in Korea.Ann Anat. 2003 Jul;185(4):377-82.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 논문으로 보고된 최초의 방사선학적 연구
<단행본>
B2018-2. Shin DH, Raffaella B, Piombino-Mascali D. Mummy Studies. Encyclopedia of Global Archaeology. (Ed.) Smith, Claire. Springer. 세계고고학 사전의 미라 항목 집필. 조선시대 미라 연구가 포함.
B2014-1. Shin DH, Oh CS, Kim MJ, You DS and Lee IS. What could radiological study say about Korean mummies? Yearbook of Mummy Studies, 2014. March. Vol. 2. 125-131. Verlag Dr. Friedrich Pfeil, Scientific publisher, Munchen, Germany. 단행본에 조선시대 미라 방사선학적 연구에 대해 기술
B2011-2. Seo M, Oh CS and Shin DH. Parasite Eggs found in Korean Mummies. Yearbook of Mummy Studies, Vol. 1, pp. 75-81, June 2011. Verlag Dr. Friedrich Pfeil, Scientific publisher, Munchen, Germany. 단행본에 조선시대 미라 기생충학적 연구에 대해 기술
B2008-1. Shin MH, Yi YS, Bok GD, Lee E-J, Spigelman M, Park JB, Min S-R and Shin DH. How did mummification occur in bodies buried in tombs with a lime soil mixture barrier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Korea. Mummies and Science World Mummies Research.Pena PA, Martin RM and Rodriguez AR (eds.) 105-113. 2008. Santa Cruz de Tenerife, Spain. 미라가 발견되는 조선시대 회곽묘에 대한 종설. 부경대 신명호 교수와 공저
B2008-2. Kim MJ, Lee IS, Spigelman M, Donoghue HD, Lee SD, Kim Y-S, Lim DS, Oh CS, Seo M, Park J-B, Min S-R, and Shin DH. Future prospects for the scientific investigations of the medieval human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in Korea. Mummies and Science World Mummies Research.Pena PA, Martin RM and Rodriguez AR (eds.) 105-113. 2008. Santa Cruz de Tenerife, Spain. 미라 연구 초창기에 기술 된 것으로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과학적 연구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