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1-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21): 즉신불을 슈겐도 이야기로 풀어간 까닭
초야잠필
2025. 1. 25. 17:51
반응형
일본에 가 보면 즉신불은 대개 밀교진언종 사찰에 모셔져 있다.
사실 밀교진언종 자체에 즉신불이 확고한 교리로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밀교진언종은 개창자인 구카이 당대에 즉신불 비스무리한 이야기가 잠깐 나올 뿐
에도시대까지 진언종에서 즉신성불을 목표로 수행했다는 뚜렷한 증거가 없는 듯 하기 때문이다.
한편 슈겐도의 경우-.
그 기원은 명확히 불교와는 무관한 자연숭배의 원시적 종교에서 발전해 나온 것이 분명한데
이 슈겐도는 수련의 최종 목적을 즉신성불에 두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즉신불은-.
슈겐도의 전통에 따라 즉신성불 수행을 하여 만들어진 즉신불이
밀교진언종 사찰에 모셔지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즉신불이 한 쪽 다리는 슈겐도에 두고
또 다른 다리는 불교 진언종에 두고 있는 것-.
이는 바로 일본 특유의 신불습합에 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다시 말해 즉신불은 슈겐도와 불교진언종이 한데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는데
필자가 즉신불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면서
슈겐도와 불교진언종 어느 쪽에 더 중점을 두고 써 가야 할까를 처음에 고민하다가,
역시 불교진언종 보다는 그 뿌리를 슈겐도 쪽에 두고 이야기를 하는 편이
더 정확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을 했다.
위에 언급한 신불습합에 대해서는 포스팅을 바꾸어 조금 이야기를 더 하도록 하겠다.

*** previous article ***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20): 즉신불 기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