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야요이인의 이주는 간단한 사실이 아니다

초야잠필 2024. 5. 26. 08:02
반응형

야요이인의 열도 이주는 간단한 사실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도의 야요이인 정착촌이 초기부터 고도의 도작 농경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나온다는 점. 

만약 한반도에서 혼합농경의 일부로 존재하던 도작이 

그 순도가 높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열도로 건너갔다면 

초기에는 한반도 형의 혼합농경이 시도되다가 

점점 도작 일변도의 형태로 바뀌는 모양이 간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필자가 아는 한 야요이인 정착촌은 이런 방식으로 전개된 것이 아니라 

초기부터 상당한 수준의 도작에 바탕을 두고 시작되었다는 점. 

이 말은 결국 한반도 남단에서 야요이인 정착촌과 방불한 촌락의 존재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은 일본 열도로 흘러들어간 도작이 한반도를 거쳐갔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이는 어쨌건 우리나라 고고학도들의 노력으로 증명된 부분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며, 

결국은 야요이인 정착촌과 유사한 형태의 도작 촌락이 한반도 남부에 이미 있었는가,

이것은 도작이 한반도를 거쳐갔는가와는 또 다른 문제라 할 것이다. 


*** previous article *** 

 

동계 평균 기온 0도와 난대림 지역

 

 

도이가하마 석관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