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치이야기-20] 5000년 전의 옷을 복원하다
외치에 대한 연구는 발견된 직후부터 지금까지 한 마디로 안해 본 연구가 없을 정도로 많은 보고가 있다.
새로운 기법이 나왔다는 소식만 나오면 득달같이 연구가 적용되어 바로 결과가 발표되었고,
지금까지 외치에 대해 시행된 연구들은 그 수준이 최상급으로 보고된 저널도 모두 세계적 수준이었다.
그 중에 외치 연구를 통해 5,000년 전 당시 유럽인들이 입던 옷이 성공적으로 복원된 것이 있다.
외치가 등산객 변사자가 아니라 오천년 전의 사람이라는 것이 확인되자마자
고고학자들이 그 인근을 샅샅이 뒤지게 되었다.
이때 생각보다 상당히 많은 당시 유물이 수습되었는데
이 유물들은 모두 분석, 복원되어 남티롤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우리가 보기엔 딱 넝마 수준의 옷들이지만 이 남은 유물들을 가지고 당시의 의복을 하나씩 복원하기 시작했다.
복원된 의복에는 모자, 상의, 레깅스, 도롱이, 신발 등이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복원한 옷을 입혀 놓은 모습이 바로 이것이다.

그리고 그 재질도 하나씩 둘 씩 확인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복원한 옷을 당시의 외치가 어떻게 착용했을지 추정한 그림이 바로 아래 그림이다.

여러 벌 옷을 순서대로 착용했음을 알 수 있다.
*** previous article ***
[외치이야기-19] 외치를 관람하다
[외치이야기-19] 외치를 관람하다
이제 외치 영감님에 대한 이야기를 써 볼 때다. 외치가 발견 된 이후 이 미라가 무려 5,000년 전 사람임이 확실시되면서 유럽의 관련 연구자들은 모두 흥분했다.사실 유럽의 미라 연구 전통은 아
historylibra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