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사에서 폐기해야 할 두 가지 개념
필자가 생각컨데 조선후기사에서 폐기되어야
비로소 역사인식에 물꼬가 트일 두가지 개념이 있다.
첫째는 실학, 특히 중농주의 실학을 근대의 선구로 보는 개념이다.
둘째는 동학혁명을 "동학농민전쟁"으로 보는 개념이다.
중농주의 실학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근대의 선구로 보고,
동학혁명을 "농민전쟁"이라는 모호한 개념으로 덧칠해 놓은 것은
농민들을 혁명의 주체로 보고 토지균분과 공동생산을 근대적 발전 방향으로 모색한
동아시아적 혁명론 (마오이즘 등)의 투영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19세기는 이런 시각으로 봐서는 그 전모를 쉽게 드러낼 수 없다.
조선후기를 변혁시킬 주체는 이러한 중농주의 실학자도 아니고,
농민도 아니다.
조선후기 향촌에서 성장해 나오는 가짜 양반들,
유학모칭자들.
이들이 바로 서양사, 일본사에서 부르조아, 하급무사에 해당하는 사람들로
필자 생각으로는 이들이 19세기 후반의 민란,
구한말에 새로이 등장하는 관료층,
그리고 20세기 한국의 근대화에 이르기까지
주체가 된 사람들이 바로 이들이다.
이들을 잔반이라던가, 농민이라던가 하는 모호한 개념으로 부르니
그 당시의 상황이 잘 부각되지 않는 것이라 본다.
19세기를 제대로 봐야 한국 근현대사가 제 위치를 찾아갈 것이라 생각하는 바,
이 시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삼정문란, 농민혁명이라는 도식으로 설명한 것을
이제는 다른 시각에서 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빠르게는 18세기 향촌질서의 동요부터 19세기의 급변, 개항, 구한말, 일제시대를 거쳐
대한민국의 급격한 근대화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것을 일이관지, 설명할 개념이 필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