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과는 무관한 대동항렬
우리나라 이름 짓는 방식 중에
반드시 버려야 할 폐습의 하나가 바로 대동항렬이다.
이는 한 문중 모든 사람이 각 대수에 따라 항렬 몇 자를 통일하여 쓴다는 것으로
이를 대단한 전통으로 알고 있는 분들도 있다.
이에 대해 간단히 논파한다.
이 풍습은 올라가봐야 19세기 후반,
늦으면 20세기 일제시대에 들어 보편화한 전통이다.
우리나라는 성 자체가 몇 가지가 없고
항렬자를 하나 쓰게 되면 남은 글자가 하나밖에 없어
수많은 동명이인을 낳게 된다.
이름이라는 것이 첫째로 개인식별이 문제이지
문중 소속감이 목적이겠는가?
항렬자는 반드시 없어져야 한다.
항렬자 기원은 멀리 볼 것도 없이
각 집안 족보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원래 우리나라는 대동항렬이라는 것은 없었다.
이 대동항렬은 지극히 근대적인 발명품으로
한 집안 사람들이 적서구분없이 모두 동일한 항렬자를 쓴다는 것으로
장구한 기간 전해져온 전통과는 무관한 것이다.
족보를 상고하면
원래 우리나라 돌림자는 대개 같은 아버지 아들 간에 쓰던 것들이었다.
그러던 것이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이 되면
같은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벽을 넘어
사촌끼리도 항렬자를 공유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 다음 단계로 빠르면 19세기 중반, 늦으면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 경에
대동항렬이 등장하는 것이다.
대동항렬-.
물론 지키건 안 지키건 그건 개인이 알아서 할 일이긴 한데
이를 지키는 것이 가문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라던가 하는 생각은 않는 것이 좋겠다.
제사, 귀성, 홍동백서 등과 함께 대동항렬도
정말 오래된 전통이 아니므로
이를 죽자살자 지킬 필요가 전혀 없다.
*** [편집자주] ***
형제간 돌림자 항렬 중 신라말~고려초 흥미로운 사례가 아래다.
두 가지 돌림자를 쓴 최언위崔彦撝의 네 아들
두 가지 돌림자를 쓴 최언위崔彦撝의 네 아들
고려 혜종 원년(944)에 향년 77로 죽은 최언위崔彦撝의 아들로는 최광윤(崔光胤)·최행귀(崔行歸)·최광원(崔光遠)·최행종(崔行宗) 이 있다고 《고려사》 그의 열전에 밝혔다. 네 형제 중 각각 둘
historylibra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