探古의 일필휘지

호계삼소 동양화를 그린 일본 서양화가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11. 25. 05:38
반응형

인물 부분



나까무라상, 천 년도 더 전 옛 이야기를 그리다

1. 옛날 중국 진나라 때, 스님인 혜원법사와 시인 도연명, 도사 육수정 이 셋은 참 절친하게 지내던 사이였다.

혜원법사는 여산 동림사東林寺라는 절에 머무르며, 절 앞을 흐르는 시내 '호계虎溪'를 건너지 않는 걸 철칙으로 여겼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스님이 잘 지내는가 싶어서 친구 둘이 들렀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이 얼마나 반가웠으랴.

혜원법사는 이야기에 취해 그만 냇물을 건넜다.

그러자 어디선가 범이 울부짖었다.

그 소리에 깨달은 세 사람, 누구랄 것도 없이 껄껄껄 웃었다 한다.

이 장면, '호계삼소虎溪三笑'는 이후 유-불-도 세 종교 화합을 상징하는 천고의 고사가 되었다.


2. '호계삼소'를 다룬 그림은 적지 않다.

하지만 딱! 떨어지는 작품은 많지 않다.

그러다가 이 그림을 만났다.

우리나라 사람 솜씨는 아니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이야기할 거리가 있다.

존경하는 모 페친께서 일본인을 뭉뚱그려 "나까무라"라 하실 때가 있는데,

이 그림을 그린 분이 다른 누구도 아닌 나까무라다.

그 이름 나카무라 후세쓰中村不折(1866-1943).

근대 일본의 서양화가이자 서예가로, 일본에서는 나쓰메 소세키(1867-1916)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 삽화를 그린 것으로도 유명하다 한다.

그런데 이 그림은 비단에 그린 전형적인 동양화다.

서양화가가 동양화를 그렸다고?



화제 부분



3. 근대, 특히 동아시아의 근대는 지독한 자기부정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일본만 해도 폐불훼석廢佛毀釋 같은 문화파괴가 벌어졌지 않았던가.

하지만 그런 일을 겪었음에도 당시를 산 사람들은 뼈에 박힌 전통을 모조리 내칠 수 없었다.

특히 예술가들은 고미술과 신사조 사이에서 둘의 장점을 어떻게 융합할까,

또는 전통 속에서 근대의 싹을 어떻게 찾아볼 수 있을까 고민해야 했다.

일본에서건 조선에서건 서양화가나 조각가가 붓글씨를 쓰고 동양의 미를 논하며, 골동품을 모으는 것이 결코 어색한 게 아니었다.

이 글 주인공 나까무라상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스스로도 서예가였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서예자료들을 어마어마하게 모았다.

그의 수집품은 오늘날까지 도쿄의 다이토구립 서도박물관에 고스란히 남았다.


4. 이 그림은 꽤나 해학적이라고 할까, 만화풍이라고나 할까, 보고 있으면 슬쩍 웃음이 나온다.

엷게 우려낸 먹으로 올린 산 아래 소나무 한 가지, 그 옆에 셋이 서 있다.

머리 깎은 혜원 스님이야 분명하지만, 지팡이 짚은 분이 도 선생인지 육 도사인지는 잘 모르겠다. (편집자주 : 지팡이는 도사의 표식이다. 따라서 육수정이다.)

하기야 그런 구분이 저들의 입가에 걸린 웃음 앞에서 무슨 소용이랴.

가볍게 그린 듯 하면서도 깊이가 남다르다.

화제 글씨는 나까무라 후세츠 특유의 필치인데, 그 뜻이 이 그림 그 자체이다.

三老同一咲 세 어른 함께 웃으시니
物我兩茫茫 물아가 다 아득하구나
月照清溪水 달은 맑은 시냇물 비추고
風散白蓮香 바람은 흰 연꽃 향을 흩는다



전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