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호기심이 없는 한국 학계, 그 끝은 정계
                신동훈 識
                 2025. 6. 11. 00:02
              
              
                    
        반응형
    
    
    
  우리나라 학계-. 
머리 좋은 분 많다. 
돈도 많다. 
시설도 좋다. 
문제는 호기심이 다른 나라보다 떨어진다. 
필자가 보기엔 이게 가장 문제다. 
창의성교육 어쩌고 하지만 
사실 창의성이란 호기심의 부산물이다. 
호기심 없는 창의성이라는 건 연필도 없이 글씨 쓰겠다는 것과 같다. 
사이언스 네이쳐 다 좋지만 
이것 역시 호기심의 부산물이다. 
애당초 궁금하지가 않은데 연구가 따라올 리가 없지 않나. 
우리나라 학계에 국가적으로 많은 돈을 퍼붓지만 
제대로 된 성과가 미흡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호기심이 수준 미달이라는 데 있다. 
다 아는데 뭐하러 공부하겠나. 
어차피 다 아는 호기심이 왜 생기겠나 말이다. 
필자가 늘상 하는 말이지만
대학에는 호기심이 없는 이들은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남아 있으면 안된다. 
이런 양반들은 열에 아홉은 대학에 있다가 정치판으로 무대를 옮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