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중왕국 시대 비소 청동 생산 밝혀내다
합금에 포함된 스파이스speiss는 우연이 아니라 일부러 첨가

Archaeometry에 게재된 새로운 오픈 액세스 연구는 아스완의 엘레판티네 섬Elephantine Island에서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00년경~1650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는 비소 청동arsenical bronze 생산에 대한 최초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고대 이집트의 야금 전통이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복잡했음을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비소와 철, 그리고 이 경우에는 납이 몇 퍼센트 포함된 슬래그 형태의 합금인 스파이스speiss가 생산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사용된 시약이라는 점이다.
이는 이집트의 비소 구리arsenical copper가 구리 광석에 미량 원소가 우연히 첨가되어 발생했다는 기존 가정에 반한다.
오히려, 이 증거는 중왕국 시대 야금 기술자들이 비소 함량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이고 통제된 방법을 적용하여 청동 합금의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켰음을 시사한다. 이는 특히 도구와 무기에 필수적인 특성이다.
잉 지리 크모셰크Ing Jiří Kmošek(비엔나 미술 아카데미와 체코 과학 아카데미)와 뉴캐슬 대학 마틴 오들러Martin Odler 박사로 구성된 국제팀은 독일 고고학 연구소German Archaeological Institute (DAI) 카이로 지부 양혜 아래 엘레판틴에서 발견된 금속 가공 유물을 분석했다.
이들은 이집트 정부 승인을 받은 카이로 프랑스 동양고고학연구소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IFAO)와 카이로 사막 연구 센터 실험실 시설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요한나 시글Johanna Sigl 박사가 이끄는 "삶의 현실Realities of Life" 하위 프로젝트 틀 안에서 엘레판티네 섬에서 발굴된 야금 유물을 연구하기 위해 첨단 성분 및 미세구조 분석을 활용했다. [챙겨야 할 기관이 많아서 보도 구절이 이리 구질구질하다. 이해하고 넘어가자.]
논문 교신저자인 오들러 박사는 "이 발견은 이집트 야금술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기술 혁신이 기원전 1천년대 초기, 그리고 그 이전부터 이미 확립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앞서 발견된 슈페이스 조각은 추후 조사될 예정이다"고 언급했다.
한편, 논문 주저자인 잉 크모셰크는 "슈페이스 발견은 고대 이집트 장인들이 이전에는 인정받지 못한 합금 생산 공정에 대한 훨씬 더 깊은 이해를 보여주며, 그들의 역량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이 발견은 고대 무역망에도 더 광범위한 의미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금속 가공 과정의 부산물인 스피스Speiss는 특수 재료에 대한 접근성을 시사하며, 이집트 야금학자들이 초기 형태의 자원 교환 및 정제 과정에 참여했음을 시사한다.
적용된 기법으로는 스피스 출처를 확인할 수 없으며, 가장 유력한 추정은 스피스가 이집트 동부 사막에서 발견되는 황비소광석arsenopyrites을 가공하여 고대 이집트인이나 사막에 거주하는 비이집트계 주민들이 직접 조달했다는 것이다.
스피스 내 납 함량은 고대 금속 가공의 출처 연구에 사용되는 납 동위원소 비율 해석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스피스에서 추출된 납은 구리 광석의 납 동위원소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뉴캐슬 대학교와 출판사 Wiley 협약에 따라 Archaeometry에 오픈 액세스로 게재됨으로써,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 세계 학자와 관심 있는 대중에게 공개될 수 있다.
"중왕국 시대 엘레판티네 섬(이집트 아스완)에서 스피스를 이용한 비소 청동 생산"이라는 제목의 논문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C BY 4.0에 따라 배포된다.
이 특별한 발견은 세계 최초의 선진 문명 중 하나인 고대 문명의 기술적 창의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며, 초기 금속 생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고대 근동 지역의 자원 조달, 기술 지식 이전, 그리고 무역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For the full text, visit Archaeometry (open access):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arcm.7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