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네안데르탈인, 구더기 곁들인 발효 고기를 먹었을 가능성 커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7. 28. 12:15
반응형

육식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워 

 
[편집자주] 이에서 소개하는 아티클은 멜라니 비즐리Melanie Beasley라는 연구자가 The Conversation이라는 잡지에 ‘Neanderthals Likely Ate Fermented Meat With a Side of Maggots’라는 제목으로 소개한 것이라, 그 전문이다.

연구자 일방 주장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음미할 만한 대목이 적지 않다.  

부패한 동물을 먹고 사는 검은 동애등에 구더기Black soldier fly maggots. 출처: Melanie Beasley/The Conversation


네안데르탈인은 발효된 고기에 구더기를 곁들여 먹었을 가능성이 높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네안데르탈인이 열렬한 육식주의자였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네안데르탈인 유해의 화학적 분석 결과, 사자나 하이에나 같은 최상위 포식자만큼이나 많은 고기를 먹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 우리 인류, 그리고 멸종된 다른 근연종을 포함한 호미닌 집단은 전문적인 육식주의자가 아니다. 오히려 잡식성으로 식물성 식품도 많이 섭취한다.

인간은 매우 육식적인 식단으로 생존할 수 있다. 실제로 이누이트족과 같은 전통적인 북부 수렵 채집인 상당수는 주로 동물성 식품으로 생존했다.

하지만 호미닌은 대형 포식자들이 섭취하는 고농도 단백질 섭취를 견딜 수 없다.

만약 인간이 장기간에 걸쳐 과육식동물이 섭취하는 만큼의 단백질을 섭취하면서 다른 영양소는 충분히 섭취하지 않는다면, 단백질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중독은 역사적으로 "토끼 기아rabbit starvation"라고 알려진 심각하고 치명적인 상태다.

그렇다면 네안데르탈인 뼈에서 발견된 화학적 특징, 즉 그들이 엄청난 양의 고기를 건강하게 섭취했음을 시사하는 듯한 이 특징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인류학자로서 질소와 같은 원소를 이용하여 우리 고대 조상들 식단을 연구한다.

나와 동료들이 진행한 새로운 연구는 네안데르탈인 식단에 숨은 비밀 성분, 즉 구더기maggots가 존재했음을 시사하는데, 이는 당시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씹고 뜯고 이가탄? 네안데르탈인 식습관. (Gorodenkoff / Adobe Stock)




동위원소 비율은 동물 섭취량을 보여준다

동물 뼈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소 비율은 그들이 생전에 무엇을 섭취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위원소isotopes는 질량이 약간 다른 동일한 원소의 대체 형태다.

질소에는 두 가지 안정 동위원소stable isotopes가 있다. 더 풍부한 형태인 질소-14와 더 무겁고 덜 흔한 형태인 질소-15다.

과학자들은 질소-15와 질소-14 비율을 δ¹⁵N으로 표시하고 퍼밀permil이라는 단위로 측정한다.

먹이 사슬 상위로 올라갈수록 생물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질소-15 동위원소를 지닌다. 예를 들어, 풀은 δ¹⁵N 값이 매우 낮다.

초식동물은 풀을 먹으면서 섭취하는 질소-15를 축적하기 때문에 자신의 몸은 δ¹⁵N 값이 약간 더 높다.

육식동물은 먹이 사슬에서 질소 비율이 가장 높다. 먹이에서 나오는 질소-15가 육식동물 몸에 농축되기 때문이다.

안정 질소 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함으로써 11,700년에서 129,000년 전인 후기 플라이스토세 late Pleistocene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식단을 재구성할 수 있다.

여러 유적에서 발견된 화석에서도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이 호미닌들은 높은 δ¹⁵N 값을 가지고 있다. 높은 δ¹⁵N 값은 일반적으로 동굴 사자나 하이에나와 같은 초육식동물과 함께 먹이 사슬 최상위에 위치하며, 이들은 식단의 70% 이상을 고기로 섭취한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 식단에 다른 요인이 작용하여 δ¹⁵N 값이 부풀려졌을 수도 있다.


네안데르탈인 식단을 밝히다

우리는 구더기가 네안데르탈인 식단에서 강화된 질소-15의 또 다른 잠재적 공급원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파리 유충인 구더기는 지방이 풍부한 먹이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다른 동물을 죽인 후에는 피할 수 없는 존재이며, 대량으로 쉽게 수집할 수 있고 영양학적으로도 유익하다.

이러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우리는 원래 매우 다른 목적으로 만든 데이터 세트를 사용했다. 바로 질소가 사망 이후 경과 시간을 추정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법의인류학 프로젝트였다.

나는 원래 테네시 대학교 녹스빌 캠퍼스 법의인류학 센터에서 현대 근육 조직 샘플과 관련 구더기를 수집하여 사망 후 부패 과정에서 질소 수치가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하고자 했다.

이 데이터는 현대 법의학적 사망 조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매우 다른 가설을 검증하는 데 활용했다.

근육 조직이 분해됨에 따라 안정 질소 동위원소 수치가 -0.6퍼밀에서 7.7퍼밀까지 약간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증가는 부패 중인 조직을 먹는 구더기에서 더욱 극적으로 나타나 5.4퍼밀에서 43.2퍼밀로 증가한다.

구더기 수치를 객관적으로 보기 위해, 과학자들은 플라이스토세 초식동물의 δ¹⁵N 값이 0.9퍼밀에서 11.2퍼밀 사이일 것으로 추정한다. 구더기는 최대 4배 더 높은 수치를 보인다.

우리 연구에 따르면, 후기 플라이스토세 호미닌에서 관찰된 높은 δ¹⁵N 값은 건조, 냉동 또는 저장된 동물성 식품에서 발견되는 ¹⁵N이 풍부한 구더기를 일년 내내 섭취함으로써 증가했을 수 있다.
 

독일 메트만 네안데르탈 박물관Neanderthal Museum in Mettman이 표현한 염소를 도살하는 네안데르탈인 남성 복원도. 출처: 네안데르탈 박물관, 메트만/위키미디어 커먼즈, CC BY-SA




문화적 관습이 식단을 형성한다

2017년, 내 공동 연구자 존 스페스John Speth는 네안데르탈인의 높은 δ¹⁵N 수치가 북반구 수렵인들 식단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증거를 바탕으로 부패하거나 썩은 고기를 섭취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전통적으로 원주민들은 거의 대부분 완전히 부패하고 구더기가 들끓는 동물성 식품을 기아 식량이 아닌 매우 바람직한 음식으로 여겼다.

실제로 많은 원주민이 일상적으로, 그리고 종종 의도적으로 동물성 식품이 구더기가 들끓을 정도로 부패하도록 방치했고, 어떤 경우에는 심지어 액체화하기도 했다.

이 썩은 음식은 필연적으로 너무나 강렬한 악취를 풍겨 초기 유럽 탐험가, 모피 사냥꾼, 선교사들이 역겨워할 정도였다.

그러나 원주민들은 그러한 음식을 먹기 좋고, 심지어 별미로 여겼다. 어떻게 그 역겨운 악취를 참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들은 단순히 "우리는 그 냄새를 먹지 않다"고 대답했다.

네안데르탈인의 문화적 관습은 토착민과 유사하며, 그들의 높은 δ¹⁵N 값의 미스터리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고대 호미닌은 다양한 품목을 도축하고, 저장하고, 보존하고, 조리하고, 경작했다.

이러한 모든 관습은 비호미닌 육식동물이 섭취하지 않는 형태의 음식으로 그들의 팔레오 식단paleo menu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연구에 따르면 조리된 음식, 육상 및 수생 생물의 부패한 근육 조직, 그리고 우리 연구에서는 부패한 조직을 먹는 파리 유충의 δ¹⁵N 값이 더 높다.

부패한 동물성 식품과 관련된 구더기의 높은 δ¹⁵N 값은 네안데르탈인이 고기 외에도 다른 영양가 있는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서도 우리가 과육식동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δ¹⁵N 값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네안데르탈인에게서 관찰된 높은 δ¹⁵N 값은 지방이 많은 동물 조직과 발효된 위 내용물을 일상적으로 섭취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상당수는 반부패 또는 부패한 상태였다.

또한, 살아 있거나 죽은 ¹⁵N이 풍부한 구더기라는 피할 수 없는 이점도 있었을 것이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

파리 유충은 지방과 영양소가 풍부하고 어디에나 존재하며 쉽게 구할 수 있는 곤충 자원이며,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 모두 현대 수렵 채집인들처럼 파리 유충을 최대한 활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구더기만으로 네안데르탈인 유해에서 그토록 높은 δ¹⁵N 값을 설명할 수는 없다.

이 고대 식단에 대한 몇 가지 의문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육식만으로 δ¹⁵N 값이 예상 값보다 증가한 것을 설명하려면 구더기를 얼마나 많이 먹어야 할까?

구더기 섭취의 영양학적 이점은 식품을 오래 보관할수록 어떻게 변할까?

토착 전통 방식에 따라 가공, 보관, 조리된 식품의 δ¹⁵N 값 변화에 대한 더 많은 실험 연구는 고대 친척들의 식습관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