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이스라엘 성막 유적에서 언약궤 안식처 발견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8. 4. 16:02
반응형

고대 실로 고고학 발굴. 성막과 언약궤가 있던 성경 유적. 출처: CBN

 

이스라엘 고대 실로Shiloh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 중인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이 전설적인 언약궤Ark of the Covenant가 보관되었던 신성한 성소, 성막biblical Tabernacle의 돌 기초를 발견했다고 믿고 있다.

이 발견은 성경에 묘사된 이 구조물이 하나님의 지상 거처였다는 최초의 물리적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성경 연구 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소속 스콧 스트리플링Scott Stripling 박사가 이끄는 발굴팀은 성경에 묘사된 성막의 정확한 크기와 방향과 일치하는 기념비적인 석조 건물을 발굴했다.

이 구조물은 성경 기록에 명시된 정확한 2:1 비율로 설계되었으며, 고대 기록에 나와 있는 대로 동서로 향한다.

고고학적 증거는 건축 유적을 훨씬 넘어선다.

발굴자들은 유적 곳곳에 흩어진 10만 점이 넘는 동물 뼈를 발견했는데 주로 양, 염소, 소뼈였다.

데일리 메일(Daily Mail)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것은 이 뼈들이 동물 오른쪽 옆구리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레위기Leviticus  7장에 명시된 제사장 제물을 오른쪽 옆구리에 바쳤다는 요건과 정확히 일치한다.

스트립링 박사는 크리스천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The Christian Broadcasting Network)와의 인터뷰에서 "이것은 우연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곳에서 희생 제사 증거는 압도적이며, 성경 기록과도 일치하여 무시하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암스트롱 연구소Armstrong Institute 논문에 따르면, 뼈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들은 철기 시대(Iron I)의 것으로, 성막이 실로에서 거의 400년 동안 운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와 일치한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실로는 에브라임Ephraim 산간 지방 주요 종교 중심지였다.

고대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에 대제사장 엘리Eli가 성막을 감독한 곳이 바로 이곳이었다.

이곳은 블레셋 사람들Philistines이 언약궤를 빼앗아 간 곳으로 악명을 떨쳤고, 사무엘상Samuel 4장에 기록된 엘리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새로 발견된 건물에는 거대한 내부 벽이 있어 건물을 두 개 뚜렷한 구역으로 나눈다.

이러한 건축학적 세부 묘사는 성막 내부 성소인 지성소Holy of Holies가 휘장으로 바깥 방과 분리되었다고 한 출애굽기Exodus 26장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이 안쪽 방은 언약궤가 보관되어 있었으며, 하나님이 지상에서 거하는 장소로 여겨졌다.

언약궤의 운명은 고고학계 미스터리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기원전 1445년 무렵 이집트 탈출 이후 모세가 제작한 금으로 덮인 이 상자는 기원전 586년 바빌로니아에 예루살렘이 파괴되기 전에 성경 기록에서 사라졌다.

여러 가지 이론에 따르면 언약궤가 숨겨졌거나, 파괴되었거나, 먼 곳으로 옮겨졌다는 설이 있지만, 확실한 고고학적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스트립링 박사 연구팀은 엘리가 언약궤가 나갔다는 소식을 듣고 죽은 바로 그 문을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방대한 양의 제사 유물이 발견되고 구조물의 정확한 성경적 크기는 이곳이 실제로 언약궤가 수 세기 동안 안치된 신성한 장소였음을 시사한다.

고고학적 증거는 고대 이스라엘 종교 관습에 대한 전례 없는 통찰력을 제공하고 성경 이야기와의 실질적인 연관성을 제시한다고.

텔 실로Tel Shiloh에서 진행 중인 발굴은 이스라엘에서 매년 가장 큰 규모 고고학 탐사다.

매년 여름마다 새로운 발견이 이어지며, 성서 역사에서 이 중요한 시기를 조명한다.

이 유적 중요성은 단순히 언약궤와의 연관성을 넘어, 예루살렘에 솔로몬 성전Solomon's Temple이 건립되기 전 3세기 이상 이스라엘 지파의 중심 예배 장소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더욱 커진다.

 

***

 

나로선 기독교, 혹은 성경에 어두워 이 이야기 중요성이라든가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니, 전달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독자들은 혜량해 주셨으면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