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숙성 톈수이 민속 요새 마을 지리정보 구축
톈수이 민속 요새 공간적 패턴은 지역 경관이 공동체 방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by Li Yali 리 얄리,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 항공우주정보연구소 Aerospace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AIR) 연구팀은 중국 북서부 간쑤성Gansu Province 톈수이Tianshui에 위치한 역사적 민속 요새의 문화적 경관을 체계적으로 지도화하고 분석하여 오랫동안 방치된 민중 문화 유산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발견했다.
인문사회과학커뮤니케이션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 저널에 게재된 이 연구는 현장 조사와 지리 정보 기술을 결합하여 이 지역 전역에 걸쳐 718개 민속 요새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성채의 공간적 분포와 역사적 가치를 기록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구조물을 형성한 자연적, 사회적 요인들을 정확히 파악하여 톈수이 최초의 성채 전문 문화 경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이 자료는 지역 문화 보존 및 문화유산 관광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 개의 요새의 땅Land of a Thousand Fortresses"으로 불리는 톈수이Tianshui는 독특한 전통의 민간 방어 정착지를 보유한다.
국가가 건설한 공식적인 요새와는 달리, 이 요새들은 불안정한 시기에 지역 주민들이 전쟁, 산적, 사회 불안정으로부터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했다.
이러한 요새들의 존재는 갈등과 환경적 어려움에 적응하기 위한 수 세기 동안의 인류의 노력을 반영하지만, 지금까지 체계적인 학술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기 위해 원격 탐사 이미지 해석, 현장 조사, 역사 문서 분석, 그리고 지역 사회 설문 조사를 병행했다.
지도에 표시된 요새들 평균 면적은 5,338제곱미터이며, 서로 약 2.3킬로미터 떨어져 있음을 발견했다.
분포 패턴은 매우 밀집되어 있으며, 특히 통웨이Tongwei, 우산Wushan, 간구Gangu 현 밀도가 높다.
핵 밀도 분석 결과, 단 100제곱킬로미터 내에 최대 17개 요새가 집중한 핫스팟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요새는 정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를 띠며, 그 형태는 지역 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원형 구조물은 언덕 꼭대기를 차지하고, 타원형 구조물은 능선을 따라 늘어서 있으며, 불규칙한 형태는 험준하거나 고르지 않은 지형에 적응한다.
연구진은 이러한 패턴 이면에 있는 동인을 더욱 탐구하여 자연 조건과 농업 생산성, 인구 용량, 그리고 정착지 분포를 연결하는 "힘의 전달 사슬force transmission chain"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궁극적으로 요새가 특정 지역에 건설된 이유를 설명했다.
이 모델은 이 지역 문화 경관을 환경적 제약과 인간의 회복력 모두와 연결한다.
AIR 왕 샤오화Wang Shaohua 교수는 "우리 연구는 톈수이 요새가 단순한 전쟁의 유물이 아니라 공동체의 회복력과 적응력을 보여주는 지속적인 상징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요새의 분포와 그 형성 요인들을 기록함으로써, 우리는 이 취약한 문화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이론적 통찰력과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연구진은 새롭게 구축된 톈수이 요새 문화 경관 데이터베이스가 중국의 민간 방어 정착지 연구의 공백을 메운다고 지적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요새의 실체, 환경 조건, 지리 정보, 그리고 역사 기록을 다루는 네 개 하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향후 학술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More information: Shangzhou Song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fortresses in Tianshui, Gansu Province, Chin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 (2025). DOI: 10.1057/s41599-025-05399-2
Provided by Chinese Academy of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