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1,500년 전 지금의 진주 일대를 호령한 어느 부자의 무덤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9. 17. 18:09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1SNUJfU-kns

 

 

무덤 전경.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by 경남도 제공

 
진주시가 국가유산청과 더불어 돈을 댄 '역사문화권 중요유적 발굴조사 사업' 일환으로 진주 원당고분군 M2호분이라는 삼국시대 무덤을 판 모양이라, 그 성과랑 현장을 17일 공개했다 하거니와 

발굴조사는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이라는 전문기관이 했다 한다. 

그와 관련해 경남도가 관련 보도자료를 17일 공개했으니 그 전문은 다음과 같다. 
 

무덤 내부.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by 경남도 제공

 
경남도, 진주 원당고분군 반성천 일원 독자적 가야 세력 존재 확인
- 역사문화권 중요 유적 발굴조사 사업, 가야 정치․교류사 규명 성과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17일 국가유산청과 함께 지원하는 역사문화권 중요유적 발굴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진주 원당고분군 M2호분 발굴 성과를 현장설명회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진주 동부지역에서 최대 규모로 확인되는 가야 봉토분이 드러났다. 해당 고분은 직경이 13.4~15.2m, 높이가 1.2~4.2m에 달하는 대형 석실 봉토분으로, 매장주체부는 중앙연도식 횡혈식 석실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특히, 봉분의 축조 과정에서 토대土臺와 토제土堤*의 구조가 확인되어, 아라가야 고분군과 유사한 축조 기술을 공유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토제土堤: 매장주체부를 보호하고 봉분을 성토하기 위해 쌓은 흙둑
 

금동제 대장식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by 경남도 제공


1차 조사에 이어 봉토를 전면적으로 조사한 결과, 지형과 조건을 고려하여 다량의 점토덩어리를 활용하여 지반을 강화하고 상․하부의 성토를 뚜렷하게 구분하여 축조한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현재까지 조사된 가야 고분군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평가되는 개석蓋石이 발견되었는데, 길이 290㎝, 너비 208㎝, 두께 30㎝에 이르는 이 개석은 당시 장례와 축조 방식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아울러, 다양한 토기와 금속기류가 출토되었는데, 고배高杯, 기대器臺 등의 토기류와 함께 축소모형 철기, 관고리, 그리고 금동제 대장식구金銅製 帶裝飾具가 출토되어 학술적 가치를 더하였다. 

특히, 금동제 대장식구는 백제 사비기의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있어 부여 능산리와 남해 남치리 고분군 출토품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당시 가야와 백제 간 교류 관계를 실증하는 자료로 주목된다. 
 

축소 모형 철기? 뭘 축소? 살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by 경남도 제공


이러한 결과는 원당고분군이 단순한 지역 거점이 아니라 남해안과 남강 유역을 잇는 내륙 교통로의 요충지에 위치하여 소가야 및 인근 정치체가 전략적으로 장악한 공간임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출토 유물의 성격은 소가야뿐만 아니라, 대가야, 신라, 백제 등 다양한 세력과의 교류 흔적을 담고 있어, 6세기 중엽 가야가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증명한다.

이번 성과는 경남도가 2026년 역사문화권 중요유적 발굴조사 사업에서 전국 최다 건수(8건), 최대 국비(9억 7천만 원)를 확보한 성과와 맞물려, 학술적 성과와 정책적 성과를 동시에 달성한 사례이다.

박일동 경남도 문화체육국장은 “진주 원당고분군 발굴 성과는 가야사의 복원과 동아시아 교류 연구에 있어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면서, “앞으로도 국가유산청과 협력해 도내 중요유적의 발굴․정비와 국가유산 승격, 활용 확대를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관고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by 경남도 제공

 
정리하면 이 무덤은 6세기 중반, 가야문화권, 아마도 아라가야 문화권 영향을 짙게 받은 데서 만든 것으로 무덤 규모나 출토 유물로 보아 꽤 한 가닥하는 사람이 묻혔으며, 

삼국시대 전반하는 영향 관계가 두루 드러나는 것으로 봐서 암튼 중요하다! 이거다. 

초점을 맞춘 데는 역시나 무덤을 언제 누가 만들었고, 그 만든 기법은 어떠한지일지며 

저런 무덤이 발견됐다 해서 독자적 정치세력 존재 운운한 대목은 무리가 따르지 않나 싶다. 
 

통형기대.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by 경남도 제공
이영식 翁 제공 현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