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0년 전 후기 청동기시대 중부 유럽 엘리트는 외지인
독일 세딘 유적 무덤 인골 분석, 외래 스트론튬 흔적 드러나

후기 청동기 시대 외국 엘리트? 독일 무덤에서 장거리 여행자 발견
by 예테보리 대학교 University of Gothenburg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독일 세딘Seddin에 묻힌 청동기 시대 사람 중 상당수가 현지인이 아니라 외부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고고학자들은 이전에도 세딘 주변 유럽 다른 지역에서 그런 흔적을 발굴한 적이 있지만,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세딘 사람들이 직접 이동하고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청동기 시대 외국 엘리트? 독일 세딘의 이동 패턴 조사"라는 제목 이 연구는 PLOS One에 게재되었다.
이 연구는 세딘 지역 인골 유해에 대한 최초의 생물고고학적 조사다.

고고학적 유물을 연구하면 여러 지역 간 교역과 교류를 파악할 수 있지만, 이것이 인간 이동을 동반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이 새로운 연구는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유럽을 어떻게 이동했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세딘의 엘리트 집단에 대한 이러한 지식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그 유골을 조사하고 그 화학 성분이 해당 지역에서는 이질적임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조사 대상 개체들은 대체로 큰 무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결과는 일반 대중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엘리트 집단만을 대표할 수 있습니다."
연구를 이끈 안자 프랭크Anja Frank 박사 말이다.
이 연구는 예테보리 대학교 연구원과 고고학자를 포함한 국제 협력 결과다.
이 연구는 기념비적인 무덤을 보유한 세딘이 기원전 900년에서 700년 사이에 국제 교류 중요한 중심지였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예테보리 대학교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Kristian Kristiansen 교수는 "이는 대부분의 매장된 개체에서 지역적이지 않은 외래 스트론튬strontium 흔적이 발견된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고 말했다.
"매장된 대부분 개체에서 스트론튬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부 스칸디나비아와 중부 유럽, 그리고 아마도 북부 이탈리아를 가리킵니다. 이는 이 지역 간 활발한 무역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지식과도 일치합니다."

연구 수행 방식
국제 학제간 연구팀은 기원전 9세기 위크볼드Wickbold 1 무덤을 포함하여 세딘 주변 후기 청동기 시대 매장지 5곳에서 발견된 화장 유골의 스트론튬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했다.
프랭크 박사는 스트론튬 동위원소가 과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어떤 사람이 현지인인지 비현지인인지 판단하려면 해당 사람의 스트론튬 동위원소 조성을 기준선과 비교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고학적 토양과 지표수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 자료를 사용해 세딘 주변 지역 스트론튬 동위원소 조성을 정의했다.
프랭크 박사는 "유명 화장 매장지에서 발견된 내이뼈inner ear bones의 스트론튬 동위원소를 측정했다.
내이뼈는 유아기에 형성되며 화장 후에도 변화에 강하다. 내이뼈는 형성되는 동안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의 스트론튬 성분을 흡수하며, 그 견고성 덕분에 음식을 '안전하게' 보호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청동기 시대 개인의 내이뼈 스트론튬 동위원소 구성이 그들이 묻힌 거주지 주변 환경(즉, 해당 지역의 음식 공급원)에서 발견된 스트론튬 동위원소 구성과 일치하지 않으면, 그들은 해당 지역에서 토착민이 아닌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프랭크는 "여러 지역에서 동일한 스트론튬 조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기원 지역을 식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지역을 식별했고, 고고학 기록을 활용하여 그 범위를 더욱 좁혔다"고 말했다.

예테보리 대학교 고고학자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과 세레나 사바티니Serena Sabatini가 이 연구에 참여했다.
More information: Anja B. Frank et al, A Late Bronze Age foreign elite? Investigating mobility patterns at Seddin, Germany, PLOS One (2025). DOI: 10.1371/journal.pone.0330390
Journal information: PLoS ONE
Provided by University of Gothenbu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