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섬서성 유가와刘家洼 유적, 초기 춘추시대 작은 제후국 예국芮國의 마지막 도읍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9. 7. 18:54
반응형

유가와 묘지


이 발굴은 2018년도 전국 10대 고고 신발굴 중 하나로 꼽힌 현장이라, 마침 저에서 비롯하는 후속 발굴 성과가 공개되었으니 그 배경이 되는 이 유적 전반을 알아둘 필요가 있어 당시 발굴성과를 새삼 정리 복습하기로 한다. 

당시만 해도 이곳이 섬서陕西 징성澄城 유가와刘家洼 동주东周 유지遗址로 보고된 듯, 2019년 4월 3일 중국사회과학원 홈페이지가 공개한 아티클을 대본으로 삼는다.

집필자는 종건영种建荣이다.  

 

유적 전경



이 유적 발굴 기관은 섬서성고고연구원陕西省考古研究院과 위남시박물관渭南市博物馆, 그리고 징성현문체광전국澄城县文体广电局이다. 

류가와 유지刘家洼遗址는 섬서陕西 징성현澄城县 왕장진王庄镇 유가와촌刘家洼村 서북쪽에 위치하며, 낙하洛河 지류인 장녕하长宁河 상류 노가하鲁家河 강 양쪽에 분포한다.

2016년 말에 무덤이 도굴당한 사실이 발견되자 국가문물국 승인을 받아 유적을 탐사하고 긴급 발굴하여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조사 결과 유적 범위는 약 3제곱킬로미터로 서쪽, 남쪽, 북쪽 세 면이 자연 참호를 경계로 삼고, 동쪽은 인공 참호를 통해 외부와 분리되어 있으며, 참호 남쪽과 북쪽 끝은 자연 참호와 연결되어, 자연 참호와 인공 참호를 연결하여 동서 2000미터, 남북 1500미터 폐쇄된 대형 유적을 형성한다.

노가하는 유적 중심을 지나며, 동쪽과 서쪽 두 구역으로 나눈다.

유적에서는 풍부한 주대周代 문화 유물을 수집할 수 있으며, 절벽에서는 많은 회갱灰坑과 흙벽 다지기 등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유적 동쪽 중앙에서는 조사와 탐사에서 10만 평방미터가 넘는 성터가 발견되었다.

 

'中'자형 대묘大墓인 M2



성터 서쪽은 노가하의 하천, 남쪽, 북쪽, 동쪽 세 면이 흙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비교적 폐쇄된 구역을 형성한다.

위치는 중앙에 위치하며 지세가 험준하다.

성터 안에서 도격陶鬲, 대야盆, 항아리罐, 두豆, 삼족옹三足瓮 등 춘추 시대 도기 조각이 채집되었으며, 그 외에도 도기 거푸집陶范 조각 한 점이 발견됐다.

탐사 결과, 회갱과 판와板瓦 등 건축 자재가 대량으로 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요한 건축물이 위치한 곳으로, 고급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도시 지역 외곽은 일반 주거와 무덤이다.


대묘大墓 M1 출토 편종 석경编钟石磬


탐사에서 발견된 무덤은 총 네 곳 220여 기로, 그 중 동구 묘지东区墓地가 3곳, 서구西区 남부 묘지가 1곳이다.

동東I구 묘지가 가장 중요한데 대·중·소형 무덤 73기, 수레와 말 구덩이 2기, 말 구덩이 1기가 발굴되었다.

묘도墓道가 있는 中자형 대묘 2기(M1과 M2)와 대형 수혈토갱묘竖穴土坑墓 1기(M3)가 있다.

"中"자형 대묘 북서부에는 각각 남북 방향 수레와 말 구덩이가 있다.

 

유가와 묘지刘家洼墓地 분포도



서구 남묘지西区南墓地에서는 총 44기 무덤이 발굴되었으며, 모두 중·소형이다.

모든 무덤은 수직 움무덤인 수혈 토갱竖穴土坑으로, 남북 방향이며 머리는 북쪽 방향으로, 일부는 남쪽 방향으로 두었다.

대형 수혈묘 M2가 벽감 순인壁龛殉人 흔적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여타 무덤에서는 요갱腰坑이나 순장과 같은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M1号墓 출토 목용木佣

 

무덤 주체 디자인을 보면 서주西周 동주東周 시대 무덤들과 뚜렷한 일치를 보인다.(벽감 순인이란 순장한 희생자를 넣어두는 별도 벽 공간이다. M2를 제외하곤 벽감이 보이지 않는다 했지만 이후 최근 발굴에서 M3 무덤에서도 드러났다.) 

대묘와 일부 중형묘는 심각한 도굴을 당했지만, 여전히 많은 청동기와 금기, 옥기, 철기, 도기, 칠목기 등 귀중한 문화재를 발굴하고 정리했다. 

출토 유물 형태와 문양 등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유적 시대는 춘추 초기에 속한다. 

 

대묘大墓 M1 출토 금호金虎
대묘大墓 M1 출토 관배棺环



유적 내 흙 다지기 건축, 성벽, 참호, 구리 주조[铸铜, 도기 제작[制陶] 등의 수공업 유적, 그리고 무덤 형태, 장례 관습 등은 뚜렷한 문화적 특징을 보인다.  

청동기 예기礼器는 7정鼎 6궤簋, 5정 4궤 등의 조합 형식이 있으며 예공芮公, 예태자芮太子 등의 청동기 명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곳은 예국芮国 후기 도성 유적과 그 묘지로 보인다. 

예국은 역사적으로 주나라와 같은 성을 가진 제후의 마지막 정치 중심지로 드러났다.

아울러 유가와 유적 발굴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예나라 후기 역사 공백을 메웠다.

또한 주나라 왕실 대신들이 채읍采邑을 취하여 동주 제후국으로 변천한 전형적인 사례를 제공했다.


큰 무덤 출토된 융종甬钟



대묘에서 출토된 금수권장金首权杖, 청동복青铜鍑, 철창铁矛 등과 일부 중소형 무덤에서는 나선형 금귀걸이螺旋状金耳环, 금팔찌金手镯 등의 장식품이 나와 북방 초원 문화 향기가 가득하다.

관련 무덤 주인은 확인할 수 있는 예공芮公도 있고, 다른 중소형 무덤과 다른 곳에 있는 중소 귀족이나 평민도 있다.

무덤 사이에서는 겹겹이 쌓인 관계나 뚜렷한 구역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분명히 예국의 동시기 무덤에 속한다.

서로 다른 문화 전통과 족계族系 배경을 지닌 주민들이 같은 묘지를 공유하는 현상은 예나라 후기의 민족과 문화 융합의 진정한 모습을 드러내며, 지정학적 국가의 기본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주나라 사회 조직과 인구 구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예공 동정芮公铜鼎



서주 춘추 시대 제후급 무덤의 악기 조합은 기본적으로 청동 편종青铜编钟과 석편경石编磬 한 세트다.

유가와 대형묘의 中자형 대묘의 악기조합은 편종, 편경 각 두 세트이며, 수직갱대묘竖坑大墓는 5박镈9뉴钮이며 건고建鼓, 동요铜铙(钲), 도훈陶埙 등의 기구가 여러 점 배치되어 현재 알려진 춘추 초기 무덤 출토 악현제도乐悬制度 중 최고급으로 예나라 귀족들의 음악적 취향과 감각적 향락을 충분히 보여주며, 중국 고대악기 발전사와 음악고고고학 연구에 가장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대묘大墓 M2 곽실椁室
대묘大墓 M2 수장 동정随葬铜鼎



M2에서 나온 세 개 나무 침대木床는 네 모서리에 청동 뿔 장식을 더하여 중국의 침대 사용 역사를 춘추 초기로 앞당겼다.

조각된 종雕纹钟, 경대磬架, 옻나무 탁상漆木几案, 두豆, 합合 등은 춘추시대 목작 옻칠 공예 기술 발전 수준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다.

많은 금기와 철기는 중국 고대 황금 및 제철업 발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다.

 

大墓M2 출토 청동궤青铜簋
大墓M2 출토 석경石磬
大墓M3 묘실墓室
예태자芮太子 백동격白铜鬲
중형묘 출토 동기铜器
중형묘 출토 옥종玉琮
권장权杖과 금패식金牌饰(오른쪽 아래 귀퉁이)
소형묘 출토 금이배金耳环
대묘大墓 M1 출토 편종 석경编钟石磬
대묘大墓 M1 출토 용종甬钟
대묘大墓 M3 박종镈钟
大墓M3 뉴종钮钟
소형묘小型墓 출토 도기陶器 조합
대묘大墓 M2 발굴현장. 묘실 바닥을 정리 기록 중이다
예국 도성 분포
금수권장金首权杖
陶埙
追缴的青铜壶
출토 금기金器
M1 출토 옥규玉圭
M1 출토 금우수함배金牛首衔环 조합
小型墓出土金耳环
M3 출토 동정과 그 명문
M49 무덤 출토 동정과 명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