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화석 이빨 분석 통한 동물의 멸종과 생존 이야기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16. 10:03
반응형

동남아시아 기후 변화에 대한 포유류 반응을 보여주는 고대 이빨

막스 플랑크 학회Max Planck Society 제공
 

이 연구에서 분석된 화석 이빨 표본에는 1) 원숭이macaque, 2) 멸종된 거대 맥tapir, 3) 야생 멧돼지, 4) 야생 대형 소과 동물, 5) 호랑이, 6) 고슴도치, 7) 수마트라 코뿔소, 8) 승냥이, 9) 오랑우탄, 10) 자이언트 판다 등이 포함된다. 출처: 니콜라 부르공 박사


Science Advances에 게재되고 막스 플랑크 지구인류학 연구소가 주도한 한 이번 연구는 유연성flexibility 이 생존과 멸종의 차이를 어떻게 만들어냈는지 밝혀냈다.

베트남과 라오스에서 발견된 화석 이빨을 분석해 국제 연구팀은 멸종, 절멸, 그리고 현존하는 종의 먹이와 서식지를 재구성했다.

결과는 다양한 먹이와 서식지를 지닌 동물들이 생존 가능성이 더 높았지만, 좁은 범위의 전문화한 동물들은 대부분 사라졌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언론계에서도 전문기자를 하면 안 된다!!!] 
 

니콜라 부르공Nicolas Bourgon 박사(왼쪽)가 아연 동위원소 분석을 위한 시료를 준비하고, 티나 뤼데케Tina Lüdecke 박사(오른쪽)가 초고감도 질소 동위원소 측정 일환으로 비이커에 액체 질소를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실험실 기술을 통해 과학자들은 화석 치아 법랑질에 보존된 화학 신호를 추출하여 고대 포유류의 식습관과 생태적 유연성에 대한 전례 없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출처: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 및 막스 플랑크 화학 연구소


연구팀은 15만 년에서 1만 3천 년 전 화석 이빨 141개를 조사하고 기존 기록과 결합했다. 탄소, 산소, 질소, 아연의 안정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환경 변화에 대한 식이 반응dietary responses을 조사했다.

"치아 법랑질tooth enamel의 화학적 흔적을 분석함으로써 고대의 식습관과 환경을 놀라울 정도로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주저자인 니콜라스 부르공Nicolas Bourgon 박사는 말한다.

"시간에 따라 종을 비교하면 어떤 종은 살아남고 어떤 종은 사라진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삼바사슴sambar deer, 마카크원숭이macaques, 멧돼지와 같은 동물들은 넓은 동위원소 분포 범위에서 나타나듯이 적응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오랑우탄, 테이퍼tapirs, 코뿔소rhinoceroses와 같은 전문 동물들은 특정 서식지에 따라 분포 범위가 좁았다.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일반 동물들은 살아남았고 전문 동물들은 취약해졌다.

현재 보르네오와 수마트라에만 서식하는 오랑우탄은 한때 동남아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했다.
 

베트남-프랑스 공동 현장 조사 중 꼭 무어이 동굴Coc Muoi cave 깊숙한 곳에서 작업하는 과학도들. 조명이 켜진 발굴 지역에서는 플라이스토세 포유류 이빨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이후 화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고대 식습관과 환경을 재구성했다. 사진 제공: 베트남 고고학 연구소 인류학 및 고환경부, 쯔엉 후 응이아Truong Huu Nghia

 
동위원소 분석 결과, 이들은 환경 변화 중에도 폐쇄된 숲에서 나는 과일을 꾸준히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오랑우탄이 어려운 시기에 대체 식량을 찾을 수 있지만, 그들의 생존은 여전히 온전한 숲에 달려 있다"고 베트남 고고학 연구소 인류학 및 고환경학과 공동 저자인 응우옌 티 마이 흐엉Nguyen Thi Mai Huong 박사는 말한다.

"이것은 수만 년 동안 사실이었던 것 같습니다."

동남아시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열대 우림 벌채에 직면하고 있는 만큼, 과거로부터 얻은 교훈이 시급하다.

막스 플랑크 연구소 수석 저자 패트릭 로버츠Patrick Roberts 교수는 "고대의 압력에 종들이 어떻게 대처했는지 이해하는 것은 오늘날의 회복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단순히 종뿐만 아니라 종을 지탱하는 생태적 조건의 보존 필요성을 강조한다.

부르공 교수는 "이 연구는 단순히 고대 동물에 관한 것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More information: Faunal persistence and ecological flexibility in Pleistocene Southeast Asia revealed through multi-isotope analysis, Science Advances (2025). DOI: 10.1126/sciadv.adu3642 

Journal information: Science Advances 
Provided by Max Planck Society 

반응형